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00

석보상절(釋譜祥節) 제二 月印千江之曲-其 十六 보살이 배속에 들어 계실 제, 부인이 육도(六度)를 수행하시더니,〔六度는 보시와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과 지혜이니, 보시는 저한테 있는 재물을 남에게 주며, 또한 제가 아는 법으로 남을 가르친다는 말이고, 지계는 경계함을 지닌다는 말이고, 인욕은 욕된 일을 참고 참는다는 말이고, 정진은 정성으로 부처님 도리에 나아간다는 말이고, 선정은 마음을 적정하게 생각하여 일정한 것이고, 지혜는 알지 못한 것이 없이 사뭇 비친다는 말이다. 도(度)는 건넨다는 말이니 저쪽(피안) 가에 건넨다고 하는 뜻이니, 생사는 이쪽 가이고, 번뇌는 물이며,열반은 저쪽인 것이다. 수행은 닦아 행한다는 것이다.〕하늘에서 음식이 자연히 내려오니, 부인이 잡수시고, 어느 곳에서 온 지를 모르시더니, 그 뒤로 인간의 음식은 써서 잡수시.. 2005. 6. 27.
광교산 봉녕사를찿아-25 탑 측면에 새겨진 반야심경 ) 종단: 대한불교조계종 교구: 제 02교구 말사 전화번호: (031)256-4127 소재주소: 442-190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번지 ? 사찰설명: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의 문화유산인 華城이 있는 수원에 또 하나의 문화유산-수행도량-이 있으니 바로 광교산 기슭에 자리잡은 봉녕사이다. 928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을 물리치고 돌아가는 길에 光嶽山 행궁에서 머물며 군사들을 위로할 때 이 산에서 빛이 솟구쳐 올라 그 기운이 하늘로 뻗치는 것을 보고 부처님의 가르침이라 믿어 불교를 빛낼 산이라 하여 빛 광(光)에 가르칠 교(敎)字로서 광교산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경내에 들어서면 웅장한 대웅전을 중심으로 마치 부처님을 보좌하는 양대 보살처럼 좌우 대칭 으로.. 2005. 6. 26.
효심이 깃든 용주사-24 륭릉(사도세자와 세자비의 릉) 교구: 제 02교구 본사 본가URL: www.yongjoosa.or.kr 전화번호: (031)232-5347 소재주소: 445-970 경기도 화성군 태안읍 송산리 188번지 사찰설명: 용주사는 경기도 화성군 태안읍 송산리 188번지 화산(花山)의 낮으막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입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고찰(古刹)이 심산유곡에 자리잡고 있지만 용주사는 이와 달리 얕으막한 언덕의 평지에 조영된 가람입니다. 용주사는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부친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의 능인 현륭원(顯隆園)의 능사(陵寺)로서 1790년에 건립하였습니다. 정조가 처음 절을 짓고자 장소를 물색하던 중 원래 신라 때 창건된 갈양사(葛陽寺).. 2005. 6. 26.
초발심자경문-처음 도를 배우려는 이에게 간절한 말씀-2 깨우치려고 같이 모여 수행하는 도반들을속이고 능멸하여 시비로 다툰다면이런 출가는조금도 이익이 없느니라.若也欺凌同伴, 論說是非, 如此出家, 全無利益약야기릉동반 논설시비 여차출가 전무이익재물과 남여로부터 오는 화근은독사보다 심한 것이니자신을 잘 살피고 그 그릇됨을 알아모름지기 이것들을 늘 멀리해야 하느니라.財色之禍, 甚於毒蛇,省己知非, 常須遠離재색지화 심어독사 성기지비 상수원리특별한 일이 없다면남의 방에 들어가지 말 것이며남모르는 곳에 숨어억지로 남의 일을알려고 해서도 아니 되느니라.無緣事則, 不得入他房院, 當屛處, 不得强知他事.무연사칙 부득입타방원 당병처 부득강지타사육일 십육일 이십육일이 아니거든속옷을 빨지 말 것이며이 닦고 세수할 때큰 소리로 코를 풀거나침을 뱉지 말지어다.非六日, 不得洗浣內衣, 臨관漱,.. 2005.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