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과 들 그리고 바다27 머위 캐러 머위는봄나물 중 하나로 계절감을 주는 요리나 찬류에 활용하기 좋은 식재이다. 전국 어디에서나 자생하며, 주로 논둑, 밭둑,습지 등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식용으로 이용하는 부분은 주로 머윗대라고 불리는 엽병(잎자루) 부분이다. 길이는 40~65cm, 굵기는 lcm 정도로 녹색 또는 연자주색을 띄고있다. 일반적으로 삶은 후, 무치거나 볶아 나물류 반찬으로 활용한다. 머윗대 외에 잎과 줄기도 식용이 가능하다. 2025. 4. 5. 매화 ㆍ 살구 ㆍ 벚꽃 구분법 매화, 살구, 벚꽃은 모두 봄에 피는 아름다운 꽃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꽃의 특징을 비교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개화 시기: * 매화: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꽃으로, 2월 말에서 3월 초에 개화합니다. * 살구: 매화가 지고 난 후 3월 말에서 4월 초에 개화합니다. * 벚꽃: 살구꽃이 지고 난 후 4월 초에서 중순에 개화합니다.♨️♨️ 요즘은 시기는 뒤죽박죽 입니다.2. 꽃 모양 및 색깔: * 매화: * 매화 꽃잎은 둥글고 끝이 뾰족하며, 꽃잎 끝에 오목한 부분이 없습니다. * 꽃자루가 거의 없이 가지에 바짝 붙어 피어납니다. * 흰색, 분홍색, 붉은색 등 다양한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 살구: *살구 꽃잎은 둥글지만.. 2025. 3. 25. 길에 깔려 있는게 매화구나. 2025. 3. 19. 높이 나는 새와 날지 못하는 새 높이 나는 새🌸🌸 갈매기 vs 매: 누가 더 잘 볼까요?매의 눈이라는 표현을 들어보셨죠?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실제로 매는 동물 세계에서 최상급 시력을 자랑하는 새입니다. 🧚♀️🧚♀️매: 인간의 시력 기준으로 약 9.0 정도로 매우 뛰어납니다. 멀리 있는 작은 물체도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는 능력이 탁월합니다.🧚♂️🧚♂️ 갈매기: 매보다는 조금 낮지만, 인간의 시력 기준으로 약 5.0 정도로 역시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넓은 바다 위에서 먹이를 찾아내는 데 유리합니다.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잡식성 조류. 전 세계에 약 86종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갈매기속 8종과 제비갈매기속 3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위 48~68도 사이에서 주.. 2025. 1. 11.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