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산사- 유네스코 세계유산69 자장매는 활짝 웃고 있건만 꽃이 웃는다.나도 웃는다.봄 같지 않은 봄이라서자장매도 지각을 했구나.멍들은 마음에언제쯤 봄이 오려나. 2025. 3. 17. 통도사 37조도품탑-7. 팔정도 팔정도(八正道)멸성제(滅聖諦)를 성취하는 수행 방법을 말합니다. 정견(正見) 즉 바른 견해, 정사(正思) 즉 바른 사유, 정정진(正精進) 즉 바른 노력, 정념(正念) 즉 바른 명심, 정어(正語) 즉 바른 말, 정업(正業) 즉 바른 행위, 정명(正命) 즉 바른 생활, 정정(正定) 즉 바른 명상 등 여덟 가지는 열반으로 이끌어 주는 최선의 길입니다.팔정도에 대한 경전의 말씀이와같이 내가 들었다.한 때에 붇다는 국 숲 에 계시면서 여러 수행자들에계 말씀하셨다.“삿됨과 바름이 있느니 자세히 잘듣고 잘 생각하여야 한다. 이제 너희들을 위해 설명하겠다. 어떤 것이 삿됨인가. 삿된 견해와 나아가서는 삿된 선정이다. 어떤 것이 바름인가. 바른 견해와 나아가서는 바른 선정이다.그 가운데 바른 견해란 무엇인가. 자기 자.. 2025. 3. 11. 통도사 무풍한송로 2025. 3. 11. 명필의 자취로 본 통도사 1.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1820~1898) 철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고종은 12세의 어린 나이였으므로 그의 생부였던 흥선군 이하응이 10년간 집정하였다.그의 호는 석파이며, 글씨와 난을 그리는데 능하였으로 석파묵난이라면 천하에 유명하였다 한다靈鷲山通度寺영축산 통도사의 일주문에 쓰인글씨가 흥선대원군 작품이다.금강계단金剛戒壇(글씨 흥선대원군)계단(戒壇)이란 계(戒)를 수여하는 의식이 행해지는 장소로 석가모니 부처님 당시 누지보살(樓至菩薩)이 비구들의 수계의식을 집행할 것을 청하자 석가모니 부처님이 허락하여 기원 정사의 동남쪽에 단(壇)을 세우게 한 데서 비롯되었다. 통도사 창건의 근본정신은 바로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에 있다. 통도사가 신라의 계율근본도량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 2025. 3. 10. 이전 1 2 3 4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