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7장 술이(述而)4

술이(述而)-4 7-27 자왈 개유부지이작지자 아무시야 다문 택기선자이종지 다견이지지 지지차야 子曰 蓋有不知而作之者 我無是也 多聞 擇其善者而從之 多見而識之 知之次也 1. 자왈. " 지혜롭지 않으면서도 창작하는 사람이 있는가? 나는 그러한 일이 없다. 많이 들은 가운데 좋은 것을 가려 따르며 많이 보고서 기억하니, 나는 지혜로운 사람의 다음가는 사람이다. 7-28 호향 난여언 동자견 문인 혹 互鄕 難與言 童子見 門人 惑 1. 호향 사람과는 말하기 어려웠는데, 그곳외 동자가 공자를 뵙자 문인들이 의심하였다. 자왈 여기진야 불여기퇴야 유하심 인 결기이진 여기결야 불보기왕야 子曰 與其進也 不與其退也 唯何甚 人 潔己以進 與其潔也 不保其往也 1.자왈. 그가 나아온 것을 인정하되, 그가 물러가서 하는 행동까지 인정치는 않는 것이니,.. 2021. 4. 21.
술이(述而)-3 7-15 자왈 반소사음수 곡굉이침지 낙역재기중의 불의이부차귀 어아 여부운 子曰 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不義而富且貴 於我 如浮雲 1.자왈. " 거친 밥을 먹으며 물을 마시고, 팔을 구부려 베개를 할지라도 즐거움이 또한 그 가운데 있으니, 정의롭지 않으면서 부유하고 귀함은 나에게 뜬구름과 같다." 7-16 자왈 가아수년 오십이학역 가이무대과의 子曰 加我數年 五十以學易 可以無大過矣 1. 자왈. 나에게 몇년을 더해 주어서 나이 오십에 주역을 배운다면 큰 허물이 없을 것이다. 7-17 자소아언 시서 집례 개아언야 子所雅言 詩書 執禮 皆雅言也 1.공자는 늘 「시경」과「서경」을 말하였고, 예를 집행하는 것도 그와 같았다. 7-18 섭공 문공자어자로 자로부대 자왈 여해불왈 기위인야발분망식 낙이망우 부지노지장.. 2021. 4. 21.
술이(述而)-2 7-10 자위안연왈 용지즉행 사지즉장 유아여이유시부 子謂顔淵曰 用之則行 舍之則藏 惟我與爾有是夫 1. 공자가 안연에게 말하였다. "등용하면 자기의 뜻을 행하고 놓아두면 숨는 것을 오직 나와 네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로왈 자행삼군즉수여 子路曰 子行三軍則誰與 1. 자로가 말하였다. "선생께서는 군대를 지휘하신다면 누구와 함께 하시겠습니까?" 2. 삼군은 제후의 군대로 전군. 중군.후군을 합한 말이다. 자왈 포호빙하 사이무회자 오불여야 필야임사이구 호모이성자야 子曰 暴虎빙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必也臨事而懼 好謀而成者也 1. 자왈. "호랑이를 맨손으로 때려잡고 황하를 맨몸으로 건너 죽어도 후회하지 않는 사람과는 내가 함께 하지 않을 것이니, 반드시 일에 임하여 두려워하여 도모하기를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할 .. 2021. 4. 20.
술이(述而)-1 7-1 자왈 술이부작 신이호고 절비어아노팽 子曰 述而不作 信而好古 竊比於我老彭 1. 공자가 말하였다. "진술만 하고 창작하지는 않고, 믿으면서 옛것을 좋아하는 것을 가만히 우리 노팽에게 비교하노라." 7-2 자왈 묵이 지지 학이불염 회인불권 하유어아재 子曰 默而 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何有於我哉 1.자왈. 침묵하는 가운데 기억하며, 배우고 싫어하지, 사람 가르치는 데 게으르지 않은 것, 이 가운데 무엇이 나에게 있는가?" 7-3 자왈 덕지불수 학지불강 문의불능도 불선불능개 시오우야 子曰 德之不脩 學之不講 聞義不能徒 不善不能改 是吾憂也 1.자왈. "덕을 닦지 못함과, 배움을 강구하지 못하는 것과 정의를 듣고서도 실천할 수 없고 착하지 못한 것을 고칠 수 없는 것이 나의 근심이다." 7-4 자지연거 신신여야.. 2021.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