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대학 중용

대학/전문傳文-3

by 돛을 달고 간 배 2024. 1. 1.
반응형

제3장 지어지선 止於至善

시운詩云:
"방기천리邦畿千里,  유민소지
惟民所止"
시운詩云:
"면만황조緍蠻黃鳥, 지우구우 止于丘隅.

자왈子曰:
" 어지於止, 지기소지知其所止, 가이可以 인이人而  불여不如 조호鳥乎?"

시운詩云:
"목목穆穆 문왕文王 어於 집희緝熙 경지敬止!"
위인군爲人君, 지어인止於仁,
위인신爲人臣, 지어경止於敬,
위인자爲人子, 지어효止於孝,
위인부爲人父, 지어자止於慈,
여국인교與國人交, 지어신止於信

시운詩云:
"첨피기욱瞻彼淇澳, 녹죽菉竹의의猗猗.
유비군자有斐君子, 여절여차如切如嗟, 여탁여마如琢如磨. 슬혜한혜瑟兮한兮 혁혜훤혜赫兮喧兮.
유비군자有斐君子, 종終 불가훤혜不可喧兮!"

여절여탁자如切如琢者,
도학道學야也.
여탁여마자如琢如磨者,
자수自修야也.
슬혜한혜자瑟兮한兮者,
순율恂慄야也.
혁혁훤혜자赫赫喧兮者,
위의威儀야也.
유비군자有斐君子, 종불가훤혜자終不可훤兮者, 도성덕지선道盛德至善, 민지불능망아民之不能忘야也

시운詩云:
"어희於戱! 전왕불망前王不忘!"
군자君子
현기현賢其賢이친기친而親其親,
소인小人
락기락樂其樂 이리기리而利其利,
차이此以 몰세沒世
불망야不忘也.

● 『시경』에서 말했다. "천자의 도성都城과 교외의 천 리 강토는/백성들이 편히 머물러 사는 곳이로다." 『시경』에서 말했다. "꾀꼴꾀꼴 우는 꾀꼬리가 / 산언덕 모퉁이 숲 속에 자리를 잡고 사누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 머물러 살 때에 꾀꼬리도 자신이 살기에 최적한 곳을 알거늘, 사람이 오히려 새만도 못해서야 되겠느냐?”

『시경』에서 말했다. “위엄이 넘치고 도덕 또한 높으신 문왕이시여/오, 그 아름다운 덕이 길이 빛나노니 경건히 지선에 이르러 머무르셨도다!" 그러므로 임금 된 이는 신민臣民을 인애仁愛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신하 된 이는 임금을 공경함에 이르러 머무르며, 자식 된 이는 부모를 효경孝敬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부모 된 이는 자식을 자애함에 이르러 머무르며, 그리고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과 교류할 때에 신의를 지킴에 이르러 머물러야 한다.

『시경』에서 말했다. “저 기수 언덕 굽이를 바라보노라니/푸른 대나무가 아름답고도 울창하누나 / 아름다운 광채가 빛나는 군자여/『시경』에서 말했다. "천자의 도성都城과 교외의 천 리 강토는/백성들이 편히 머물러 사는 곳이로다." 『시경』에서 말했다. "꾀꼴꾀꼴 우는 꾀꼬리가 / 산언덕 모퉁이 숲 속에 자리를 잡고 사누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 머물러 살 때에 꾀꼬리도 자신이 살기에 최적한 곳을 알거늘, 사람이 오히려 새만도 못해서야 되겠느냐?”

『시경』에서 말했다. “위엄이 넘치고 도덕 또한 높으신 문왕이시여/오, 그 아름다운 덕이 길이 빛나노니 경건히 지선에 이르러 머무르셨도다!" 그러므로 임금 된 이는 신민臣民을 인애仁愛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신하 된 이는 임금을 공경함에 이르러 머무르며, 자식 된 이는 부모를 효경孝敬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부모 된 이는 자식을 자애함에 이르러 머무르며, 그리고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과 교류할 때에 신의를 지킴에 이르러 머물러야 한다.

『시경』에서 말했다. “저 기수 언덕 굽이를 바라보노라니/푸른 대나무가 아름답고도 울창하누나 / 아름다운 광채가 빛나는 군자여/뼈와 뿔을 자르고 가는 것 같고/옥과 돌을 쪼고 가는 것 같이 학덕學德을 닦았도다 / 태도는 근엄하면서도 마음은 관대하나니 / 아름다운 광채가 성대히 빛나도다/아름다운 광채가 빛나는 군자여 / 당신을 끝내 잊을 수가 없나이다." 여기서 '뼈와 뿔을 자르고 가는 것 같고라 함은 학문에 정진함이요, '옥과 돌을 쪼고 가는 것 같이'라 함은 자아를 수양함이다. '태도는 근엄하면서도 마음은 관대하나니'라 함은 엄숙하고 신중하며 겸손함이요, '아름다운 광채가 성대히 빛나도다'라 함은 풍모에 한껏 위엄이 넘침이다. '아름다운 광채가 빛나는 군자여/당신을 끝내 잊을 수 없나이다'라 함은 그 크고 훌륭한 덕과 더할 나위 없이 선함을 사람들이 결코 잊을 수 없음을 말한다.

『시경』에서 말했다. “오, 문文·무武 선왕先王의 공덕은 영원히 잊히지 않으리라!" 이는 곧 후대의 현군賢君은 선왕이 숭상한 현덕賢을 중상하고 또 선왕이 친애한 친족을 친애하며, 후대의 백성은 선왕이 이룬 안락을 즐기고 또 선왕이 남긴 이익을 누리는 까닭에 선왕은 이미 세상을 떠나고 없는데도 그 공덕은 영원히 잊히지 않는다는 말이다.

1, 시운詩云: 시경을 일컫는다.
2, 방기천리邦畿千里: 천자(황제)가 지내던 도성과  그 주변의 지역으로 천자의 직속 관할지. 경기도 경기도 같은 의미.
3, 유민소지 惟民所止: 유는 ~이다. 백성이 머무르는(止) 곳이다.
4, 면만 황조緍蠻黃鳥: 꾀꼬리가 우는 소리
5, 지우고 止于丘隅: 지는, 머무르다, 서식하다. 우于는 ~에, 구우丘隅는 산 언덕 모퉁이 숲 속.

6, 자왈子曰:공자의 말씀(대학에서의 자는 공자를 가리킴)
7, 오지於止(머무를 때에는, 於는 감탄하다(오), 어조사로(어))지기 소지知其所止(머무를 곳을 안다) 가이可以(어찌하여) 인이人而(사람이)  불여不如(~보다 못하다) 조호鳥乎(새보다도)
8, "목목穆穆(도덕적 수양이 높은) 문왕文王(주문왕) 오於(감탄사) 집회緝熙(길이길이 빛나는) 경지敬止(더할 나위 없는 경지에 머무름)!"
9, 위인군爲人君: 임금이 된 이는, 지어인止於仁(백성을 인애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위인신爲人臣(신하 된 이는), 지여경止於敬(임금을 공경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위인자爲人子(자식 된 자는), 지어요止於孝(부모를 효경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위인부爲人父(부모 된 자는), 지어자止於慈(자식을 자애함에 이르러 머무르고),
여국 이은가요與國人交(모든 사람은 다른 이들과 교류할 때), 지어신止於信(신의를 지킴에 이르러 머물러 야한다.)


10, 첨피기욱瞻彼淇澳: 저 기수(강 이름) 언덕 굽이(욱) 바라보니(첨)
11, 녹죽菉竹의의猗猗:푸른 대나무 아름답고도 울창하누나. 유비군자有斐君子(광채 빛나는 군자여), 여절여차如切如嗟(뼈와 뿔을 자르고 갈며), 여탁여마如琢如磨(옥과 돌을 쪼고 갈면서 학덕을 닦았도다.) 슬혜한혜瑟兮僩兮(태도는 근엄하면서도 마음은 관대하나니) 혁혜훤혜赫兮喧兮(아름다운 광채가 성대 히 빛나도다).
유비군자有斐君子(광채 빛나는 군자여), 종終(끝내) 불가훤혜不可喧兮(당신을 잊을 수 없나이다.)!"

12, 여절여탁자如切如琢者,
도학道學야也(학문에 정진함이요).
여타여 마자如琢如磨者,
자수自修야也(심신을 수양함).
☆☆절차탁마: 절(뼈) 차(상아) 탁(옥) 마(돌) 다듬는 방법인데, 이 네 가지 재료는 각각에 맞는 방법으로 가공하지 않으면 유용한 기물을 만들 수 없다는 것으로 학문이나 성정性情의 도야를 위한 힘든 노력을 의미하기도 하고, 또 하나는 네 가지 재료의 가공 공정으로 1, 자르고, 2, 갈고, 3, 매끄럽게 하는 것처럼  정교함에 정교함을 더 추구하는 학문과 덕행의 수행과정을 비유한 것.

슬혜한혜자瑟兮僩兮者,
순율恂慄야也. (엄숙하고, 신중하며 겸손함이 요.)
혁혁훤혜자赫赫喧兮者,
위의威儀야也(위엄 있는 풍채).
유비군자有斐君子, 종불가훤혜자終不可훤兮者, 도성덕지선道盛德至善(훌륭한 덕과 더할 나위 없는 선함), 민지불능망 아民之不能忘야也(백성들이 결코 잊을 수 없다.)


"오희於戱!(오!) 전왕불망前王不忘!(선왕 즉, 문왕. 무왕)"
군자君子(후대의 성군은)
현기현賢其賢(선왕이 기린 현덕을 숭상하고) 이 친기 친而親其親(선왕이 친애한 친족을 친애하며)
소인小人(후대의. 백성은)
락키락樂其樂(선왕이 이룬 안락을 즐기고) 이리 기리而利其利(선왕이 남긴 이익을 누리는),
차이此以(까닭에) 몰세沒世 (선왕이 세상을 떠나고 없는데도)
불망야不忘也(그 공덕을 잊지 못하는 것이다).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대학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전문傳文-5  (0) 2024.01.07
대학/전문傳文-4  (0) 2024.01.03
대학/전문傳門-2  (1) 2023.12.28
대학/전문傳文  (0) 2023.12.24
대학/경문 3  (0)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