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찰순례99 대웅전을 찾아-나주 불회사 국가민속문화유산 나주 불회사 석장승 (羅州 佛會寺 石장승) Stone Guardian Posts of Bulhoesa Temple, Naju나주 불회사 입구에 서있는 2기의 돌장승이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세워 경계를 표시함과 동시에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의 역할을 하는데 이 장승 역시 경내의 부정을 금하는 수문신상이다. 불회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높은 산을 뒤로한 협곡에 자리 잡고 있다. 절 앞 300m 되는 지점의 길 양쪽으로 마주 보고 서있는 이 장승은 남·여의 모습으로 구별된다. 남장승은 선이 깊고 뚜렷하며 수염이 표시되었고, 머리 위에서는 상투를 올린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입 가자장자리에는 송곳니가 아래로 뾰족하게 돌출되었고 몸체에는 ‘하원당장군(.. 2024. 7. 11. 대웅전을 찾아-완주 종남산 송광사 송광사라는 인지도가 큰 순천의 송광사가 있지만, 완주의 송광사도 만만치 않은 이력을 지닌 천년사찰이다.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에 도의 선사가 처음으로 세운 절이다. 그 뒤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제자를 시켜서 그 자리에 절을 지으려고 했지만, 오랫동안 짓지 못하다가 광해군 14년(1622) 응호·승명·운정·덕림·득순·홍신 등이 지었다고 한다. 이후로도 인조 14년(1636)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절의 확장공사가 있었고 큰 절로 번창하였다. 완주 송광사 금강문 금강문에는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력사가 문을 지키고 있다.보물 완주 송광사 금강문 (完州 松廣寺 金剛門) 「완주 송광사 금강문」은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 의 기록과 사천왕상 조성 연대가 1649년(인.. 2024. 7. 9. 실상사 그 너머 백장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길 265 지리산 자락이 감싸 안은 듯 평화롭고 풍요로운 고을 남원시 산내면에 천년 고찰 실상사(實相寺)가 있다. 지리산의 북쪽 관문인 인월에서 심원, 달궁, 뱀사골 방면으로 향하다 보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왼쪽 마천방면으로 가다 보면 만수천(萬壽川)변에 천년의 세월을 버티고 지내온 실상사가 나타난다. 만수천과 뱀사골 방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가 만나는 지점이 산내면 면소재지, 즉 인월에서 뱀사골 방면으로 가다 보면 나타나는 삼거리 부근이다. 이 삼거리에서 동쪽을 향해보면 천왕봉이 손에 닿을 듯 눈 앞에 선하다. 그 발 아래 산내면 입석리 들판이 넓게 펼쳐지는데 그 곳에 실상사가 자리잡고 있다. (실상사 홈페이지) 국가민속문화유산 남원 실상사 석장승 (南原 實相寺 .. 2024. 7. 6. 대웅전을 찾아-불국사 다시 보기(하) 보물 경주 불국사 대웅전 (慶州 佛國寺 大雄殿) Daeungjeon Hall of Bulguksa Temple, Gyeongju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동서가 약간 긴 장방형의 평면으로 단층 팔작 기와지붕이며, 조선 후기의 다포계 형식을 가지고 있다. 대웅전의 외관은 중앙의 어칸을 협칸(8.7尺)이나 퇴칸(8.2尺)보다 배이상 넓은 주칸(17.7尺)으로 꾸며졌다. 공포는 다포로 어칸에 3구의 공간포가 배치되었고, 협칸과 퇴칸에는 1구의 공간포가 배치되어 있다. 살미첨차에는 초화문양(草花文樣)과 봉황(鳳凰) 머리를 조각하였고, 평방에서 돌출된 용머리 조각 등은 매우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대웅전 정면의 어칸은 사분합꽃살문이고, 협칸과 퇴칸은 쌍분합교살문이며, 양측면의 문은 삼분합띠살문으로 꾸며졌으.. 2024. 6. 29. 이전 1 ··· 4 5 6 7 8 9 10 ··· 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