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교장/사적
경교장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었던 백범 김구선생이 1945년 중국에서 돌아온 이후 1949년 6월 26일 암살당할 때까지 집무실과 숙소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1938년에 건립된 이 건물의 명칭은 당초 죽첨장(竹添莊)이었으나 김구선생의 거처로 사용되면서 근처의 개울이름을 따서 경교장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고 전한다. 이후 자유중국대사관 관저, 국군의료진 주둔지, 월남대사관 관저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1968년 고려병원(현 강북삼성병원)이 인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하1층, 지상2층 규모의 양관으로 전면 분할의 비례가 아름답고 1층의 출창(出窓)과 2층의 들임 아치창을 이용한 단아한 외관이 일품이며, 김해경(시인 이상)이 졸업한 경성고공 출신으로 우리나라 근대 건축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김세연(金世演, 1897~1975)이 설계하여 1930년대 건축술을 잘 보여주고 있는 건축물로 평가되고 있으나, 건물의 우측면과 후면은 병원의 신축건물과 연결되었으며 내부구조도 병원용도에 맞추어 개조된 상태이다.
백범일지/기록유산
이 책은 독립운동가이며, 정치가인 백범 김구(金九,1876∼1949) 선생이 직접 쓴 자서전으로, 상·하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구는 17살 때 조선왕조 최후의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동학에 입문하여 19세에 팔봉접주가 되어 동학군의 선봉장으로 해주성을 공격했다. 21살 때는 국모의 원한을 갚는 거사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었으나 탈옥하여 공주 마곡사에 입산, 승려가 되기도 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후 독립운동에 몸을 던졌으며, 안중근과 안명근 의사의 의거에 관여하였다. 1919년 3·1운동 직후 상해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대 경무국장과 내무총장을 거쳐 1926년 국무령에 취임하였다. 1939년에는 임시정부 주석에 취임하였고, 이듬해 한국광복군을 조직하여 항일무장부대를 편성, 1941년 대일선전포고를 하였다.
일기의 상편은 1929년 김구가 53세 되던 해에 상해임시정부에서 1년 정도 독립운동을 회고하며 국한문혼용체로 김인, 김신 두 아들에게 쓴 편지형식으로, 「우리집과 내 어릴 적」,「기구한 젊은 때」,「방랑의 길」,「민족에 내놓은 몸」등의 순서로 기록하고 있다. 하편은 김구가 주도한 1932년 한인애국단의 두 차례에 걸친 항일거사로 인해 상해를 떠나 중경으로 옮겨가며 쓴 것으로,「3·1운동의 상해」,「기적 장강 만리풍」등의 제목아래 민족해방을 맞게 되기까지 투쟁 역정을 기록하고 있다. 임시정부 환국이나 삼남 순회 대목의 서술은 1945년말 정도에 첨부하여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상·하편 뒤에 붙은「나의 소원」은 완전독립의 통일국가건설을 지향하는 김구의 민족이념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이『백범일지』는 1947년 12월 15일 국사원에서 처음 김구의 아들 김신에 의해 초간발행을 필두로 오늘날까지 국내외에서 10여본이 출판사를 통해 중간되었다. 더욱이 김구가 상해이후 중경까지 27년간 임시정부요직을 두루 지내며 틈틈이 써놓은 친필원본이란 것과 임시정부의 1차 사료인 동시에 독립운동사 연구 및 위인전기사료로 귀중한 자료이다.
국가등록문화유산
백범 김구 회중시계 (白凡 金九 懷中時計)
Kim Gu’s Pocket Watch
윤봉길(1908~1932)의사가 한인애국단 입단 선서식(1932.4.26) 직후에 구입하여 간직하다 거사(擧事)를 위해 홍구공원(虹口公園)으로 떠나는 날 아침에 김구선생의 시계와 맞바꾼 것으로, 윤봉길의사의 유품이면서 김구선생의 유품이기도 하며, 거사에 임한 두 분의 애국·독립정신을 헤아릴만한 유물로서 상징적 가치가 크다. 이 금색 회중시계(懷中時計)는 Waltham사에서 만든 것으로 시계줄 끝에 작은 나침반이 달려 있으며, 하트형의 꽃무늬가 은도금되어 있는 덮개를 열면 12방위가 한자로 표시되어 있다. < 규격 : 직경 45mm, 재료 : 금속, 제작시기 : 1900년대 초반(1932년 이전) >
국가등록문화유산
백범 김구 혈의(血衣) 일괄 (白凡 金九 血衣 一括)
Blooded Clothes Worn by Kim Gu
김구(金九, 1876~1949)선생이 1949.6.26 경교장에서 총격으로 서거할 당시 입고 있었던 의복류로 조끼적삼(1점), 저고리(1점), 조끼(1점), 개량속고의(1점), 바지(1점), 대님(2점), 양말(2점) 및 개량토시(1점) 등 일괄 8종 10점이다. 혈흔이 남아 있으며 특히 조끼적삼과 저고리에는 탄흔이 있어 서거 당시의 상황을 생생히 증명해주는 유물로 역사적·상징적 가치가 매우 크다. 혈흔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조끼적삼과 저고리 및 조끼는 왼쪽 어깨부위가 절개된 상태이며, 개량속고의(전통적인 袴衣와 달리 개량된 속바지)와 바지 및 대님은 상의와 마찬가지로 명주로 만들어졌다. 그 외 갈색 양말과 개량토시(전통적인 吐手와 달리 옷소매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근대기부터 사용한 덧소매형 토시)가 있으며, 조끼에 달렸던 것으로 추정되는 은단추도 별도 보관되어 있다.
출처:국가유산 포털
💥백범로 (주소DB검색수 3515)
서울특별시 (주소DB검색수2416)
인천광역시 (주소DB검색수1099)
💥서울특별시 백범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터리에서 용산구 삼각지역사거리를 잇는 도로. 길이는 4.1km, 왕복 6차선의 도로이다.
백범로 중 용산구 보건분소(구 용산구청)에서 삼각지역까지의 구간은 일제시대 당시부터 있었던 도로이다. 이 구간은 1966년에 용산로(龍山路)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리고 1950년대에는 신촌전철역에서 공덕역에 이르는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 구간은 1972년에 서강로(西江路)[3]라는 이름이 붙었다. 1977년에 공덕역에서 구 용산구청 사이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 구간은 용산구와 마포구를 잇는다고 하여 용마로(龍麻路)라는 이름이 붙었다.
1984년에 용산로와 용마로를 통합하고, 이 도로변에 있는 효창공원에 안장되어 있는 백범 김구의 호를 따서 백범로로 개칭되었다. 2010년 도로명주소 개정 이후 옛 서강로(공덕오거리~신촌로터리) 전 구간을 백범로로 편입하여 길이가 늘어났다.
💥인천광역시 백범로
백범로(白凡路)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장수사거리와 서구 가좌동 사이를 잇는 도로로, 총 연장은 10.9 km이며, 해당 도로는 국도 제42호선의 일부를 이룬다.
'새주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주소에 남긴 이름-5 퇴계 이황/퇴계로 (80) | 2024.12.27 |
---|---|
새 주소에 남겨진 이름-4 계백로 (78) | 2024.12.25 |
새주소에 남긴 이름-3 충무공 이순신/충무로,이순신대로 (96) | 2024.12.23 |
새 주소에 남겨진 이름-2 원효대사/원효로 (90) | 2024.12.22 |
새 주소에 남겨진 이름-1 세종대왕-세종대로,세종로 (99)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