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2

석보상절(釋譜祥節) 제 一 月印千江之曲 <其 九> -4 수미산 허리에 해와 달이 감도니, 수미산이 가리면 밤이다. 동방에는 지국천왕(持國天王)〔지국은 나라를 가지는 것이니, 인도 말은 제두뢰차이다. 인도는 부처님 나신 나라이니, 중국에서 보면 서녘이므로 서천이라고 한다. 중국은 가운데 나라이니, 우리나라에서는 상담(常談)에 강남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중국을 하늘 가운데라 하고 부처님 나라를 서천(西天)이라고 하는데, 부처님 나라에서는 자기 나라를 하늘 가운데라 하고 중국을 동녘 가라고 해서 동토(東土)라고 하니, 土는 땅이다.〕남방에는 증장천왕(增長天王)〔증은 더한다는 말이고, 장은 길다는 말이니, 인도 말에 비류륵차(毗留勒叉)이다. 서방에는 광목천왕(廣目天王)〔광목은 넓은 눈이니, 인도 말에 비류박차(毗留博叉)이다.〕북방에는 다문천왕(多聞天王)이니〔다문은.. 2005. 4. 5.
부석사-12 ( 부석사 당간지주)보물255호 절에 행사가 있을때 절의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부석사 입구에 1m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다. 마주보는 안쪽 옆면과 바깥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양쪽 모서리의 모를 둥글게 다듬었다. 기둥 윗부분은 원을 2겹으로 경사지게 조각하였고, 옆면 3줄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다. 기둥머리에는 깃대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네모 모양의 홈이 파여 있다. 기둥 사이에는 한 돌로 된 정사각형의 받침 위에 원형을 돌출시켜 깃대를 세우기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주변에는 연꽃을 장식하고, 윗면 중앙에는 구멍을 뚫어 당간의 밑면을 받치고 있다.. 2005. 4. 4.
두륜산 대흥사에서-11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삼층석탑) ( 대흥사 천불전) ( 대흥사 대웅보전)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대흥사 대광명 서산대사 부도탑 및 부도군 2005. 4. 3.
달마산 미황사 (멀리 앞족으로 바다가 조금 보인다) 미황사 대웅전은 채색이 현란한 단청이 없어 더욱 단아하고 느낌이 성큼 다가선다.(보물947호) 달마산 기슭에 자리잡은 미황사는 우리 나라 육지 가장 남쪽에 있는 절이다. 미황사 사적비에 따르면 통일신라 경덕왕 8년(749)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조선 선조 31년(1598)에 다시 지었고, 영조 30년(1754)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석가모니 불상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주춧돌은 앞면 4개와 옆면 2개를 특이하게 연꽃무늬에 자라, 게 따위를 조각한 돌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는 자연석을 썼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 2005.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