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장
子日(자왈):"愚而好自用(우이호자용),賤而好自傳(천이호자전),生乎今之世(생호금지세),反古之道(반고지도),如此者(여차자),烖及其身者也(재급기신자야)"
非天子(비천자),不議禮(불의례),不制度(부제도),不考文(불고문),今天下車同軌(금천하거동궤),
書同文(서동문),行同倫(행동륜).
雖有其位(수유기위),苟無其德(구무기덕),不敢作禮樂焉(불감작례악언),雖有其德(수유기덕),
苟無其位(구무기위),亦不敢作禮樂焉(역불감작례악언).
子日(자왈):"吾說夏禮(오설하례),"杞不足徵也(기부족지야);吾學殷禮(오학은례),有宋存焉(유송존언);吾學周禮(오학주례),今用之(금용지),吾從周(오종지)."
제28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어리석으면서도 스스로 옳다고 여기며 자기 생각대로만 행동하거나, 비천하면서도 남의 말은 들으려 하
지 않고 오직 혼자서 결단해 행동하는가 하면, 지금의 세상에 살면서 굳이 옛날의 제도와 법도를 회복해 시행하고자 한다면, 그런 사람은 필시 재화 가 그 신변에 미칠 것이다."
무릇 천자가 아니면 예법을 왈가왈부하지 않고, 법도를 제정하지 않으며, 문자를 바로잡지 않는다. 오늘날은 천하의 수레를 운행함에 두 바퀴 간격을 같게 하고, 글을 씀에 문자를 통일하며, 행동거지에 동일한 윤리 규범을 준수한다.
설령 천자의 지위에 있다고 하더라도 성인의 덕성을 지니고 있지 않으면 감히 예악 제도를 제정하지 못하며,
설령 성인의 덕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천자의 지위에 있지 않으면 또한 감히 예악 제도를 제정하지 못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하나라의 예법 제도를 설명할 수 있는데, 하나라의 후예인 기나라에서 그것을 실증할 수는 없다. 나는 은나라의 예법 제도를 배우는데, 은나라의 후예인 송나라에는 관련 자료가 일부 보존되어 있다. 나는 또 주나라의 예법 제도를 배우는데, 현재 모두가 그것을 활용하고 있으니, 나 역시 주나라의 예법을 받들
어 따르리라.
子日(자왈)~공자이 가라사대
愚而好自用(우이호자용)~사람이 어리석으면서도 스스로 옳다고 여기며 자기 생각대로만 행동하거나
賤而好自傳(천이호자전)~비천하면서도 남의 말은 들으려 하지 않고 오직 혼자서 결단해 행동하는가 하면,
生乎今之世(생호금지세)~지금의 세상에 살면서
反古之道(반고지도)~ 옛날의 제도와 법도를 회복해 시행하고자 한다
如此者(여차자)~그런 사람은
烖及其身者也(재급기신자야)~필시 재화 가 그 신변에 미칠 것이다.
非天子(비천자)~무릇 천자가 아니면
不議禮(불의례)~예법을 왈가왈부하지 않고,
不制度(부제도)~법도를 제정하지 않으며,
不考文(불고문)~문자를 바로잡지 않는다.
今天下車同軌(금천하거동궤)~오늘날은 천하의 수레를 운행함에 두 바퀴 간격을 같게 하고,
書同文(서동문)~글을 씀에 문자를 통일하며,
行同倫(행동륜)~행동거지에 동일한 윤리 규범을 준수한다
雖有其位(수유기위)~설령 천자의 지위에 있다고 하더라도
苟無其德(구무기덕)~덕성을 지니고 있지 않으면
不敢作禮樂焉(불감작례악언)~감히 예악 제도를 제정하지 못하며,
雖有其德(수유기덕)~설령 성인의 덕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苟無其位(구무기위)~천자의 지위에 있지 않으면
亦不敢作禮樂焉(역불감작례악언)~감히 예악 제도를 제정하지 못한다
子日(자왈)~공자이 가라사대
吾說夏禮(오설하례)~나는 하나라의 예법 제도를 설명할 수 있는데
杞不足徵也(기부족지야)~하나라의 후예인 기나라에서 그것을 실증할 수는 없다.
吾學殷禮(오학은례)~나는 은나라의 예법 제도를 배우는데
有宋存焉(유송존언)~은나라의 후예인 송나라에는 관련 자료가 일부 보존되어 있다.
吾學周禮(오학주례)~나는 또 주나라의 예법 제도를 배우는데
今用之(금용지)~현재 모두가 그것을 활용하고 있으니, 나 역시 주나라의 예법을 받들
어 따르리라.
吾從周(오종지)~나 역시 주나라의 예법을 받들
어 따르리라.
■호(好): 좋아함.
■자용(自用): 스스로 사용함. 곧 자기 스스로 옳다고 여긴 나머지 남의 말은 듣지
않고 자기 생각대로만 행동하고 처사함을 이름.
■자전(自傳): 스스로 오로지함. 곧 독단전행 (獨斷專行), 즉 남의 말은 들으려고도 하
지않고 오직 혼자서 결단해 행함을 이름.
■반(反): 반返과 같음. 회복함. 곧 회복시켜 시행함을 이름.
■도(道)여기서는 예악 제도를 두고 이름.
■재(烖):재앙, 재화 .
■의례(議禮): 예제禮制 를 의론함. 곧 기존의 예제(예의,제도 내지 예법 )에 대해 의논해 수정修訂 함을 이름.
■제도(制道): 법도를 새로 제정함, 여기서 '제'는 동사이고, '도'는 그 목적어임.
■고문(考文): 문자를 고정考訂, 곧 문자의 필획筆劃이나 모양을 자세히 살펴 연구해 바로잡음
■거동궤(車同軌): 수레의 두 바퀴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함. 곧 수레바퀴 간격에 동일한 표준을 제정해 시행했다는 말. '궤'는 수레의 위쪽 바퀴와 오른쪽 바퀴 사이의 거리를 이름.
■서동문(書同文): 글을 씀에 문자를 동일하게 함. 곧 문자 통일을 이루었다는 말.
■행동륜(行同倫): 행위는 그 윤리 도덕의 규범을 동일하게 함. 곧 행위 규범상 동일한 윤리 도덕을 준수하고 있다는 말. '륜'은 윤리 도덕. ㆍ이상의 '거동궤.서동문.행동륜'은 분명 천하 통일의 모습인바, 자사가 분명 주나라의 예법 제도를
두고 이른 것으로 이해됨.
■ 기위(其位): 그 지위. 곧 천자의 지위를 이름.
■기덕(其德): 그에 상응하는 덕. 곧 성인.성군의 덕성 ㆍ덕행을 이름
■언(焉): 어조사. 여기서는 사실에 대한 확인 내지 강한 긍정의 어기를 나타냄.
■설 (說): 말함, 설명함. 일설에는 열悅과 같고, 좋아한다는 뜻이라고 함.
■하(夏):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 기원전 21세기에 우가 순임금으로부터 제위
를 물려받아 새 나라를 열고, 안읍(安邑)(지금의 산서성 하현 북쪽 지역)에 도읍했으며, 폭군 걸왕 때 상 탕왕에게 망함
■기(杞): 나라 이름, 주 무왕 때 하나라 왕실의 후예를 봉한 제후국으로, 지금의
하남성 기현杞縣에 있었음, 전국시대 초에 초나라에게 망함. 앞일에 대해 쓸데
없는 격정을 함을 이르는 '기우杞憂'라는 말은 바로 기나라 사람의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임.
■징(徵): 증명함, 실증함, 검증함.
■은(殷): 중국 상고시대 기원전 16세기에 탕이 하나라 폭군 걸왕을 멸한 후 박
(지금의 하남성 상구현(商丘縣)서남쪽 지역)에 도읍해 세운 왕조. 원래의 국호는 '상'이었으며, 제17대 임금 반경盤庚때에 은殷(지금의 하남성 안양현安陽縣 소둔촌(小屯村)
지역)으로 천도한 후 국호를 '은'으로 고쳐 부름, 후세에는 이 왕조 '은상殷商이라 일컫기도 함.
■송(宋): 주 무왕 때 은나라 왕실의 후예를 봉한 제후국으로, 지금의 하남성 상구현商丘縣
남쪽에 있었으며, 전국시대 말에 제나라에게 망함,
■존언(存焉): 은나라 예법 관련 자료를 일부 보존하고 있음. '존'은 보존함. 여기서는 일부 자료를 보존함을 이름. '언'은 지之와 같은 말로, 곧 은나라 예법에 관한 자료를 가리킴.
■주(周)기원전 11 세기에 무왕이 은나라 폭군 주왕을 멸한 후, 호경鎬京(지금의섬서성 장안현 서쪽 지역)에 도읍해 세운 왕조. 평왕平王 때 낙읍洛邑(지금의 하남성 낙양 洛陽)으로 천도한 이전을 서주西周, 이후를 동주東周라고 함. 동주는 다시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로 나님. 기원전256년에 진秦나라에게 망함.
■예란 조화와 질서를 핵심 정신으로 추구하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행위 규범이다.
예악 제도의 고귀한 의의는 곧 궁극적으로 인심人心 에 순응 부합하는 조화와 질서로 사람들이 모두 마음의 평화와 안정을 얻는 사회를 이룩함에 있다. 따라서 유가에서 말하는 예
악.예법은 사실상 중용의 도의 구체적 실현인 것이다.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대학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30 (0) | 2024.03.12 |
---|---|
중용中庸-29 (0) | 2024.03.11 |
중용中庸-27 (0) | 2024.03.09 |
중용中庸 26 (0) | 2024.03.08 |
중용中庸-23. 24.25 (1)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