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大哉, 聖人之道(대재,성인지도)!
洋洋乎(양양호),發育萬物(발육만물),
峻極于天(준극우천)。
優優大哉(우우대재)! 禮儀(예의)"
三百(삼백), 威儀 三千(위의삼천), 待其人而後行(대기인이후행)。
故曰(고왈): 苟不至德(구부지덕), 至道不凝焉(지도불응언)
故君子尊(고군자존) 德性(덕성),而道(이도),問學(문학),
致廣大而盡精微(치광대이진정),
極高明而道中庸(극고명이도중용)。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
敦厚以崇禮(돈후이숭례)。
是故居上不驕(시고거상불교)
爲下不倍(위하불배)。
國有道(국유도).
其言足以興(기언족이흥);
國無道(국무도),
其默足以容(기묵족이용)。
詩曰(시왈): "旣明且哲(기명차철),
以保其身(이보기신)。
其此之謂與(기차지위여)"!
제27장
위대하여라, 성인의 도여! 천지간에 한껏 충만하여 만물을 생장 발육시킴에 그 숭고함이 하늘 높이 다다랐도다.
진실로 넉넉하고 광대하여라!
예법의 대강은 300가지요,
예법의 세목은 3,000가지 이나니, 그 모두는 성인군자가 출현한 다음에야 비로소 행해질 수 있
다. 그러므로 '사람이 만약 지극한 덕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지극한 도가 그에게 깊이 체득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따라서 군자는 천부의 덕성을 받들어 따르며 묻고 배우는 데에 심력을 다하여,
그 높고 크며 밝게 빛나는 이치를 터득하고 불편부당한 중용의 길을 따라가며. 이미 배운 것을 거듭 익혀서 새로운 것을 깨달아 알고, 또 돈독하고 후덕한 자세로 예의 규범을 숭상 봉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군자는 윗자리에서는 교만하지 않고, 아랫자리에서는 도리를 어기지 않는다.
또한 나라에 바른 도가 행해지는 치세에는 그의 언론이 족히 나라를 흥성하게 하고, 바른 도가 행해지지 않는 난세에는 그의 침묵이 족히
자신을 보전하게 한다.
"시경에서 "
총명하고도 지혜로우니/
능히 그자신을 보전하도다"
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아마도 바로 이러한 뜻을
말한 것이렷다.
■풀이
大哉(대제)~위대하여라,
聖人之道(성인지도)~성인의 도여!
洋洋乎(양양호)~천지간에 한껏 충만하여
發育萬物(발육만물)~만물을 생장 발육시킴에
峻極于天(준극우천)~ 그 숭고함이 하늘 높이 다다랐도다.
優優大哉(우우대재)~진실로 넉넉하고 광대하여라!
禮儀(예의)~예법의 대강은
三百(삼백)~300가지요,
威儀 三千(위의삼천)~예법의 세목은 3,000가지 이나니,
待其人而後行(대기인이후행)~ 성인군자가 출현한 다음에야 비로소 행해질 수 있다
故曰(고왈)~따라서
苟不至德(구부지덕)~사람이 만약 지극한 덕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지극한 도가 그에게 깊이 체득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至道不凝焉(지도불응언)~지극한 도가 그에게 깊이 체득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故君子尊(고군자존)~ 따라서 군자
德性,而道(덕성,이도)~덕성을 받들어 따르며
問學(문학)묻고 배우는 데에
致廣大而盡精微(치광대이진정)~그 높고 크며 밝게 빛나는 이치를 터득하고
極高明而道中庸(극고명이도중용)~불편부당한 중용의 길을 따라가며.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이미 배운 것을 거듭 익혀서 새로운 것을 깨달아 알고,
敦厚以崇禮(돈후이숭례)~ 또 돈독하고 후덕한 자세로 예의 규범을 숭상 봉행한다
是故居上不驕(시고거상불교)~그렇기 때문에 군자는 윗자리에서는 교만하지 않고,
爲下不倍(위하불배)~아랫자리에서는 도리를 어기지 않는다.
國有道(국유도)~또한 나라에 바른 도가 행해지는 치세에는
其言足以興(기언족이흥)~그의 언론이 족히 나라를 흥성하게 하고,
國無道(국무도)~바른 도가 행해지지 않는 난세에는
其默足以容(기묵족이용)~그의 침묵이 족히
자신을 보전하게 한다.
詩曰(시왈)~시경에서 "
旣明且哲(기명차철)~총명하고도 지혜로우니/
以保其身(이보기신)~능히 그자신을 보전하도다"
其此之謂與(기차지위여)~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아마도 바로 이러한 뜻을
말한 것이렷다.
■성인지도(성인지도): 이는 아래에서 말하는 '지도를 이르며, 그것은 또한 곧 지성의 도이자 중용의 도임.
■ 양양호 (洋洋乎): 충만해 흘러넘치는 모양. 또 성대한 모양, 광대한 모양. '호'는 淵과 같은 형용사형 어미.
■준극우천(峻極于天): 그 고대함과 숭고함이 하늘까지 닿음. '준'은 높음. 곧 고대함, 즉 높고 큼을 이르니, 또한 곧 숭고함을 이르는 것으로 이해됨. '극'은 이를 다다름, '우'는 어於와 같음
■우우(優優)넉넉하고 여유로우며 풍부한 모양.
■예의(禮儀): 경례 라고도 함, 곧 고대 예절,예법의 주요 규칙.규범, 즉 대강을 이름.
■위의(威儀) 곡례라고도 함. 곧 고대 예절과 예법의 세부 규칙.규범, 즉 세목을 이름.
■대기인(待其人): 그 사람을 기다림, 이는 곧 성인군자가 출현함을 두고 이름. '대는 기다림. '기인'은 그 사람이니, 곧 아래에서 말하는 '지덕을 갖춘 사람, 즉 성현-성인군자를 이름.
■구(苟): 만약, 진실로 ~라면
■지덕(至德): 지극한 덕. 곧 최고의 덕성을 이름
■지도 (至道): 지극한 도. 곧 최고의 도로, 중용의 도이자 성인의 도를 이름.
■응(凝) 응집 됨 모임, 여기서는 도를 닦아 이룸, 깊이 체득함을 이름.
■ 언(焉): 어지於之의 합음자.
■존(尊): 존숭함. 이는 곧 받들어 따른다, 지킨다, 견지 한다는 뜻을 내포함
■덕성(德性): 인간의 천부적인 '지성'의 덕성. 곧 사람의 천성, 본성을 이름.
■도(道): 말미암음. 곧 가야 할 길로 삼음 을 이르고, 또한 곧 진력함, 심력 을 다함을 이름
■문학(問學): 묻고 배움. 곧 학문함을 이름
■치광대(致廣大): 광대함을 다함. 곧 '지도 '대도 의 광대한(광박하고 고대한) 거시적 경지를 한껏 추구함을 이름.
■진정미(盡精微): 정미함을 다함. 곧 '지도'대도의 정미한(정밀하고 미세한) 미시적경지를 한껏 추구함을 이름
극 (極):여기서는 다다름, 통달함, 터득함을 이름.
20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이미 배운 것을 거듭 익혀서 새로운 것을 깨달아 앎.
이는 본디 (논어 위정편 에서 공자가 스승의 필수 자질로 제시한 말임. '온'은
온습, 즉 복습함, 거듭 익힘.'고'는 주자가 '에전에 들은 것이라고 했듯이, 이미 배운 지식이나 이치를 말합, 한편 이 '고'를 혼히 '옛것'으로 풀이하나, 오로지 옛 문물만을 높여 소중히 여긴디는 페단이 있어 적절치 않음. '지'는 여기서는 (배우지 않은 것음) 스스로 깨달아 앎을 이룸. '신'은 주자가 '지금 새로이 터득한 것이라고 했듯이, (이전에 배운 적이 없는) 새로운 지식이나 이치를 말함,
■거상(居上): 상위에 거함. 곧 윗자리, 높은 자리에 있음을 이름.
■위하(爲下): 아랫사람이 됨. 곧 아랫자리나 낮은 자리에 있음을 이름.
■배(倍): 배와 같음. 위배 함.위반함.
곧 (아렛사람의) 도리와 에절을 어김을 이름.
■국유도(國有道) 나라에 도가 있음, 나라에 바른 도가 행해짐. 곧 치세를 이름.
■기언(其言): 그 언론. 곧 국정에 대한 그의 견해와 제안을 이름.
■족이(足以): 충분히 ~할 수 있음
■기묵족이용(其默足以容): 그의 침묵이 족히 자신을 보전하게 함, '묵'은 침묵.
용'은 용신, 즉 세상에 몸을 붙이고 살아감. 곧 자신의 신명을 보전함을 이름. 이는 곧 무도한 집정자에게 극렬히 저항하며 과격한 비판을 하지
않기 때문에 화를 면한다는 말임.
■기명차철(旣明且哲): 명철 즉 총명하고 지혜로움. '명'은 총명.현명함. '철'은 지혜로움, 사리에 밝음.
■기 (其): 추측의 어기 부사. 아마(도),
■여(與): 여와 같음. 감탄의 어조사. 일설에는 의문의 어조사.
■자사는 여기서 현명하고 슬기로운 군자는 위대한 성인의 도를 충실히 배우고 성실히 실행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적정한 처신으로 자신을 잘 보전할 수 있음을 역설했다.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대학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29 (0) | 2024.03.11 |
---|---|
중용中庸-28 (0) | 2024.03.10 |
중용中庸 26 (0) | 2024.03.08 |
중용中庸-23. 24.25 (1) | 2024.03.07 |
중용中庸-21.22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