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장
王天下有三重焉(왕천하유삼중언), 其家過关乎!(기과과의호)
上焉者(상언자)?雖善無徵(수선무징),"無徵不信(무징불신),不信民弗從(불신민불종);下焉者(하언자),雖善不尊(불선부존),不尊不信(부존불신),不信民弗從(불신민불종).
故君子之道(고군자지도)本諸身(본저신)
徵諸庶民(징저서민),考諸三王而不繆(고저삼왕이불무),建諸天地而不悖(건저천지이불패),質諸鬼神而無疑(건저귀신이무의),百世以俟(백세이사)聖人而不惑(성인이불혹).
質諸鬼神而無疑(건저귀신이무의),知天也, 百世以俟(백세이사)聖人而不惑(성인이불혹),知人也(지인야).
是故君子動而世爲天下道(시고군자동위천하도),行而世爲天下法(행위세위천하법),言而世爲天下則(언이세위천하칙).
遠之則有望(원지즉유망),近之則不厭(근지즉불염).
詩曰(시왈):"在彼無惡(재피무오),在此無射(재차무역);庶幾凤夜(서기숙야),以永終譽(이영종예)!"
君子未有不如此而蚤(군자미유불여차이조),
有譽於天下者也(유예어천하자야).
제29장
군왕이 왕위에 올라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예법을 의론하고, 법도를 제정하며, 문자를 바로잡는 세 가지 중요한 일을 잘해
야 하며, 그러면 사람들의 과오를 줄일 수 있으리라!
윗자리의 군왕은 비록 인품이 훌륭하더라도 그 자체로는 검증할 길이 없고, 군왕의 훌륭함이 검증이 되지 않으면 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며, 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들은 결코 따르지 않는다.
아랫자리의 성인은 비록 인품이 훌륭하더라도 지위가 존귀하지 않고, 지위가 존귀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며, 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들은 결코 따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군자가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는 무엇보다 자신의 품성 수양을 근본으로 하여 널리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에게 검증과 신임을 받음으로써, 하상.주 삼대 선왕들의 선정과 견주어 고찰해도 어굿나지 않고, 천지간에 세워 시행해도 어그러지지 않으며, 귀신에게 물어도 의문을 사지 않고, 백세급 뒤에 성인이 출현하기를 기다려도 의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귀신에게 물어도 의문을 사지 않음은 천도체와 천리를 알기 때문이요, 백세 뒤에 성인이 출현하기를 기다려도 의심하지 않음은
인도와 사리를 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군자의 거동은 세세 대대로 천하의 법칙이 되고, 행위는 세세 대대로 천하의 법도가 되며, 언론은 세세 대대로 천하의 준칙이 된다.
그런 만큼 군자를 멀리서 바라보면 절로 앙망이 일고, 가까이서 대하면 도무지 싫증이 나지 않는다.
[시경에서 말했다. "이 제후들이 저기 자신들의 본국에 있어도 아무도 이들을 미워하는 이 없고/ 여기 주나라 왕실 조정에 있어도 아무도 이들을 싫어하는 이 없도다/거의 이른 아침부터 밤 늦게 까지 정사에 힘쓰나니/길이길이 뭇사람들로부터 받는 아름다운 성예를 이어가리라."
군자가 이와 같이 하지 않고서도 온 천하에 아름다운 성예를 얻었던 이는 없도다.
●
王天下有三重焉(왕천하유삼중언)~군왕이 왕위에 올라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는 예법을 의론하고, 법도를 제정하며, 문자를 바로잡는 세 가지 중요한 일을 잘해야 하며
其家過关乎!(기과과의호)~사람들의 과오를 줄일 수 있으리라!
上焉者(상언자)~윗자리의 군왕은
雖善無徵(수선무징)~비록 인품이 훌륭하더라도
無徵不信(무징불신)~그 자체로는 검증할 길이 없고,
不信民弗從(불신민불종)~군왕의 훌륭함이 검증이 되지 않으면 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며,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들은 결코 따르지 않는다.
下焉者(하언자)~아랫자리의 성인은
雖善不尊(불선부존)~비록 인품이 훌륭하더라도 지위가 존귀하지 않고
不尊不信(부존불신)~지위가 존귀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며
不信民弗從(불신민불종)~사람들의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들은 결코 따르지 않는다.
●
故君子之道(고군자지도)~그러므로 군자가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는
本諸身(본저신)~자신의 품성 수양을 근본으로
徵諸庶民(징저서민)~널리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에게 검증과 신임을 받음으로써,
考諸三王而不繆(고저삼왕이불무)~하상.주 삼대 선왕들의 선정과 견주어 고찰해도 어굿나지 않고,
建諸天地而不悖(건저천지이불패)~천지간에 세워 시행해도 어그러지지 않으며,
質諸鬼神而無疑(건저귀신이무의)~귀신에게 물어도 의문을 사지 않고,
百世以俟(백세이사)~백세급 뒤에
聖人而不惑(성인이불혹)~성인이 출현하기를 기다려도 의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
質諸鬼神而無疑(건저귀신이무의)~귀신에게 물어도 의문을 사지 않고,
知天也(지천야)~천도체와 천리를 알기 때문이요
百世以俟(백세이사)~백세 뒤에
聖人而不惑(성인이불혹)~성인이 출현하기를 기다려도 의심하지 않음은
知人也(지인야)~인도와 사리를 알기 때문이다.
是故君子動而世爲天下道(시고군자동위천하도)~그러므로 군자의 거동은 세세 대대로 천하의 법칙이 되고
行而世爲天下法(행위세위천하법)~행위는 세세 대대로 천하의 법도가 되며
言而世爲天下則(언이세위천하칙)~그러므로 군자의 거동은 세세 대대로 천하의 법칙이 되고
●
遠之則有望(원지즉유망)~군자를 멀리서 바라보면 절로 앙망이 일고,
近之則不厭(근지즉불염)~가까이서 대하면 도무지 싫증이 나지 않는다.
●
詩曰(시왈)~시경에서 말했다
在彼無惡(재피무오)~이 제후들이 저기 자신들의 본국에 있어도 아무도 이들을 미워하는 이 없고/
在此無射(재차무역)~여기 주나라 왕실 조정에 있어도 아무도 이들을 싫어하는 이 없도다/
庶幾凤夜(서기숙야)~거의 이른 아침부터 밤 늦게 까지 정사에 힘쓰나니
以永終譽(이영종예)~길이길이 뭇사람들로부터 받는 아름다운 성예를 이어가리라."
君子未有不如此而蚤(군자미유불여차이조)~군자가 이와 같이 하지 않고서도
有譽於天下者也(유예어천하자야)~온 천하에 아름다운 성예를 얻었던 이는 없도다.
■ 왕(王): 여기서는 동사로, 왕이 됨, 왕 노릇함. 곧 천하를 다스림을 이름
■삼중(三重): 세 가지 중요한 일로, 곧 앞 장에서 말한 '의례,제도,고문을 두고 이름
■언(焉): 어조사. 여기서는 의촛와 같이 문장 끝에서 긍정 내지 단정의 어기를 나타냄.
■기(其): 추측의 어기 부사.
■ 과과(寡過): 허물.과오를 줄임. '과寡는 적음(小), 여기서는 적게 함, 감소시킴을 이름.
■의호 (矣乎): 복합 어조사로, 긍정과 감탄에 가벼운 추측의 어기를 아울러 나타냄.
■ 상언자(上焉者): 윗자리(上位)에 있는 사람.
곧 군왕을 이름. 한편 주자는 윗대의 군왕이 제정한 예악 제도로, 앞 장에서 말한 '하나라의 예법 제도(夏禮)'와 '은나라의 예법 제도(殷禮)' 같은 것을 이른다고 풀이함. 하지만 앞 장에서 공자가 고례나 고제를 회복 시행하는 것은 '시중時中'의 원칙에 어긋나는 처사임을 강조한 것을 감안하면, 자사가 여기서 '하례'와 '은례'의 준수를 염두에 두고 말했다고 보기 어렵고, 또 아래의 '하언자 下焉者와 의미상 대우對偶를 이루지 못한다는 폐단이 있어 적절치 않음.
■무징(無徵): 검증할 길이 없음, 이는 곰 앞에서 말한 '세 가지 중요한 일'을 찰 처리하는 실천적 노력을 통해서만 군왕의 훌륭한 인품을 검증해 보일 수 있다는 뜻을 내포함. '징'은 징험徵驗함, 실증함, 검중함.
■불(弗): 불 不과 같음
■하언자): 아랫자리(下位)에 있는 사람. 곧 신하를 이름. 여기서는 전후 문맥상 주자가 이른 대로, 공자 같은 성인을 두고 하는 말로 이해됨
■존(尊): 존귀함. 이는 곧 그 지위를 두고 하는 말임.
■군자(君子): 여기서는 앞에서 말한 '왕천하王天下 ', 즉 왕위에 올라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을 두고 이름
■도(道):이치. 여기서는 앞에서 말한 '삼중', 즉 세 가지 중요한 일을 두고 이름.
■ 본저신(本諸身): 수신에 그 근본을 툼. 곧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에 있어 무엇보다 자신의 품성 수양을 근본으로 한다는 말.
■징저서민(徵諸庶民): 일반 백성들에게 검중을 받음. 곧 널리 만백성에게 선정을 베풀어 그 은택의 실효가 나타나게 함으로써 군왕의 훌룡함을 검증받는다는 말. '서민'은 일반 백성, 평민.
■고(考): 상고相考, 즉 서로 견주어 고찰함.
■삼왕(三王): 하-상(은)-주 삼대의 개국 군주, 즉 하 우왕.상 탕왕.주 문왕과 무왕을 일컬음.
■ 무(繆): 무/謬와 같음. 틀림, 어긋남. 곧 서로 달라서 어긋남을 이름.
■건저천지이불패(建諸天地而不悖): 그것을 천지간에 세워도 어굿나지 않음. 곧 군자의 도는 천지자연의 객관 법칙에도 부합한다는 말. '건'은 세움(立). '패'는어그러짐. 어긋남. 곧 맞지 않음, 부합하지 않음을 이름.
■질저귀신이무의(質諸鬼神而無疑): (점을 쳐서) 귀신에게 물어봐도 의문을 사지 않음. 곧 군자의 도가 천지신명의 뜻과 이치에도 부합한다는 말. '질'은 질문함
■사(俟)기다림
■재피무오(在彼無惡) 그들이 저곳에 있을 때는 아무도 그들을 미워하지 않음.
곧 기나라와 송나라 제후들이 본국에 있을 때..36(아레그들을 미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음을 이름, '피'는 저곳, 여기서는 제후국 기나라와 송나
라를 가리킴. '오'는 증오함, 미워함
■ 차(此): 이곳. 여기서는 천자의 나라 주 왕실 조정을 가리킴.
■역(역): 싫어함.
■서기(庶幾):거의
■숙야(夙夜): 이른 아침과 깊은 밥. 곧 이른 아침부터 밥늦게까지 정사1바에 험
씀을 이름. '숙'은 아침 일찍.
■종예(終譽): 뭇사람들로부터 받는 성예, 즉 명성과 영예. '종'은 중衆의 가차假借뭇사람. 일설에는 본의대로 끝까지 유지한다는 뜻으로 품이함, 그러면 '종예'
는 아름다운 성에를 끝까지 이어간다는 뜻으로 이해됨. ㆍ
■조(蚤): 조早와 같음. 일찍, 일찍이(이르게), 조기(早期)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