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법구경11

법구경 다문품 법구경 다문품-2【10】지혜로운 사람은 듣기 위해 몸을 굽히고도를 좋아하는 이도 그것을 좋아하며왕도 마음을 다해 섬기고제석과 범천까지도 그렇게 한다.智者爲聞屈/지자위문굴好道者亦樂/호도자역요王者盡心事/왕자진심사雖釋梵亦然/수석범역연樂-좋아할 요【11】선인(仙人)도 늘 공경하며 듣거늘하물며 귀한 이나 부자이겠는가.그러므로 지혜[慧]를 귀하다 하나니예배할 대상 그보다 더한 것 없으리.仙人常敬聞/선인상경문況貴巨富人/황귀거부인是以慧爲貴/시이혜위귀可禮無過是/가례무과시【12】해를 섬기는 것은 밝음 때문이요어버이를 섬기는 것은 은혜 때문이며임금을 섬기는 것은 세력 때문이요도인을 섬기는 것은 법을 듣기 위해서라네.事日爲明故/사일위명고事父爲恩故/사부위은고事君以力故/사군이력고聞故事道人/문고사도인【13】사람은 목숨을 위해 의사.. 2025. 2. 27.
법구경 다문품多聞品 3. 다문품(多聞品) -1「다문품」이란 듣고 배우는 일을 권장하고 많이 들어 거룩한 지혜를 성취하면 저절로 정각(正覺)이 이루어짐을 말한 것이다.多聞品者 亦勸聞學 積聞成聖 自致正覺다문품자 역근문학 적문성성 자치정각【1】많이 들어 굳건하게 지니고법 받들어 담장으로 삼아서정진하면 넘어서거나 허물기 어렵나니여기서 계율과 지혜 이루어진다네.多聞能持固다문능지고奉法爲垣牆봉법위원장精進難踰毀정진난유훼從是戒慧成종시계혜성垣/담 원【2】많이 들어 뜻을 밝게 하고뜻이 밝아진 뒤엔 지혜가 더욱 불어나며지혜로우면 이치를 널리 알게 되고이치를 보아 법을 행하면 편안해진다네.多聞令志明다문령지명已明智慧增이명지혜증智則博解義지즉박해의見義行法安견의행법안【3】많이 들어 근심 없애고선정으로 기쁨을 삼으며감로법(甘露法)을 잘 연설하면스스로 열반.. 2025. 2. 23.
법구경 교학품-3 【20】배울 땐 먼저 깨달음을 구해야 하나니잘 관찰해 옳고 그름 분별하라.바른 이치 배웠으면 남을 가르치고슬기롭게 다시는 미혹하지 말라.學當先求解/학당선구해觀察別是非/관찰별시비受諦應誨彼/수제응회피慧然不復惑/혜연불복혹👉誨/가르칠 회【21】머리를 풀어 헤치고 삿된 도를 배우거나풀옷 입고서도 마음으로는 탐하거나어둡고 어두워 참된 이치 알지 못하면귀머거리가 오음(五音)을 듣는 것 같네.被髮學邪道/피발학사도草衣內貪濁/초의내탐탁曚曚不識眞/몽몽불식진如聾聽五音/여롱청오음👉오음-궁 상 각 치 우 【22】배워서 세 갈래 나쁜 길을 버림은약으로 온갖 독을 녹이는 것 같고건장한 대장부 생사(生死)를 건넘은마치 뱀이 허물을 벗는 것 같네.學能捨三惡/학능사삼악以藥消衆毒/이약소중독健夫度生死/건부도생사如蛇脫故皮/여사탈고피【23】.. 2025. 2. 16.
법구경 교학품-2 【10】깨달음의 이치를 일으키려는 이가배운 것 없으면 완고해지고의지할 데 없으면 스스로 방자해지니손해만 있고 일으키지 못하리라.起覺義者기각의자學滅以固학멸의고著滅自恣저멸자지損而不興손이불흥【11】이 길로 향하되 굳세게 나아가고이것을 공부하여 중도를 얻으면이를 좇아 이치를 알게 되리니마땅히 잘 기억하여 행해야 한다.是向以强시향득강是學得中시학득중從是解義종시해의宜憶念行의억념행【12】배울 땐 먼저 근본[母]을 끊고임금은 다만 두 신하만 거느리라.여러 시종들을 없애버리면그가 훌륭한 도인이니라.學先斷母학선단모率君二臣솔군이신廢諸營從폐제영종是上道人시상도인【13】배울 때 친구가 없다 해도착한 벗 얻지 못했거든차라리 홀로 선(善)을 지킬지언정어리석은 이와는 짝하지 말라.學無朋類학무명류不得善友부득선우寧獨守善녕독수선不與愚偕불여우.. 2025.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