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연사(龍淵寺)의 역사를 전하는 기록으로는 문신인 임수간(任守幹, 1665~1721)이 지어 1722년(경종 2)에 세운 「용연사중수비」와 1748년(영조 24)에 금곡 선청(金谷善淸) 스님이 지은 「용연사사적」 등 두 가지의 사적기가 가장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 두 사적기 모두 용연사의 창건을 신라시대 관기(觀機) ·도성(道成) 등 두 분의 성인과 보양(寶壤) 선사가 이룬 것으로 보고 있다. 「용연사중수비」는 신라 말에 보양 선사가 용연사를 창건하였다고 하였고, 「용연사사적」은 한 걸을 더 나아가 신라시대인 912년(신덕왕 1)이라는 창건연대까지 명시하고 있다.
보양 선사는 신라 말 고려 초에 걸쳐 고려를 건국한 태조를 지원하였고, 폐사가 된 작갑사(鵲岬寺)를 다시 일으켜 청도의 운문사(雲門寺)를 창건한 분이다.
보양 선사가 운문사를 창건하기 이전 중국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오는 길에 바다의 용이 용궁에서 대접하고 아들 이목(璃目)에게 모시고 가도록 하였는데, 보양 선사는 이목으로 하여금 가뭄에 비를 내리게 하면서 지냈다고 했다. 이처럼 보양 선사는 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용연사와 연결이 된 것으로 보인다. 절 근처에 용주폭포(龍住瀑布)가 있는데, 바로 이처럼 용이 나타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흩어져 있는 낙엽과 일렬로 서 있는 부도는 서로 다른 의미를
느끼게 하는 것일까?
계단(戒壇)은 계(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를 수여하는 식장으로, 이 곳에서 승려의 득도식을 비롯한 여러 의식이 행하여 진다. 용연사 내의 한적한 곳에 자리잡은 이 계단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임진왜란(1592) 때 난을 피해 묘향산으로 옮겼던 통도사의 부처사리를 사명대사의 제자 청진이 다시 통도사로 옮길 때 용연사의 승려들이 그 일부를 모셔와 이곳에 봉안하였다 한다.
돌난간이 둘러진 구역 안에 마련된 계단은 널찍한 2단의 기단(基壇)위로 종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네 모서리마다 4천왕상(四天王像)을 1구씩 세워두고, 위층 기단은 4면에 8부신상(八部神像)을 돋을새김하였는데, 뛰어난 조각솜씨는 아니지만 섬세하고 균형감이 있어 단조로운 구조에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조선시대에 유행한 양식을 보이고 있는 탑신은 별다른 꾸밈을 하지 않은 채 꼭대기에 큼직한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를 조각해 두었다.
절 안에 세워져 있는 석가여래비에는, 석가의 사리를 모시고 이 계단을 쌓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기록을 통해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계단이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구조가 섬세하고 조각기법이 예리하며, 특히 17세기 초에 만들어진 작품으로서 당시의 석조건축과 조각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보물539호)
뎅그러니
적멸보궁.....
가없는 중생심으로
........
적멸보궁 친구 삼는
요사체
스님은 적적하지 않으리
오로지 적멸의 즐거뭄만이
공부일진대.
'우리절 순례 > 경북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조암의 나한상-116 (1) | 2006.12.19 |
---|---|
인각사 와 일연스님-115 (1) | 2006.12.17 |
비슬산 유가사-113 (4) | 2006.12.10 |
은해사-76 (4) | 2006.05.29 |
불굴사-75 (4) | 2006.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