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원/문화

창원의 집

by 돛을 달고 간 배 2025. 1. 6.
반응형

도심 속 창원시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공간,
"창원의집"은 본래 순흥 안씨 집안이 대대로 살던 집으로 퇴은 안두철 선생이 지었고, 당호를 '성퇴헌'이라 하였으며 5대손 안택영에 이르기까지 200여 년 동안 거주하였습니다.
창원시에서 전통문화 보존을 위해 이를 매입하여 개축과 복원 과정을 거친 후 1985년 창원의집으로 새롭게 공개하였습니다.
민속교육관, 다목적전각, 농기구전시관 등 문화적·교육적 가치들로 가득 찬 공간으로 시민들의 도심 속 쉼터이자 배움터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전통혼례를 올리고자 하는 시민들을 위해 혼례 장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 전통문화의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하는 전시장, 공연장으로도 활용됩니다.

대나무를 스치는
바람 소리, 계절의 구분을 잠깐 잊어보네.

안채는 살림집에서 주로 여성들이 사용하던 생활공간이며, 사랑채는 가부장의 생활공간이자 손님을 맞이하던 곳입니다.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창원의 역사를 다양한 유물과 함께 선보입니다.
창원역사민속관"은 2012년 8월 24일에 개관하였으며, 창원의 역사와 우리 선조들의 삶의 흔적을 보전하고 후손들에게 전통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곳입니다.
역사관, 현대관, 민속관 등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영상실, 교육실, 수장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호리 고분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에 있는 철기시대 이후 널무덤·독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사적.
1988년부터 1991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6차에 걸쳐 발굴조사되어 널무덤〔木棺墓〕총 44기가 조사되었다. 이 고분군이 위치한 지역은 해발 433m의 구룡산 북서줄기와 이어지는 해발 20m 정도의 야산에서 북쪽으로 뻗어내린 야트막한 구릉이다.
출토유물은 종류가 다양하고 수량이 많다. 청동기로는 동검·동투겁창〔銅矛〕·한경(漢鏡)·띠고리〔帶鉤〕·동고리〔銅環〕등이 있다. 철기로는 철검·쇠투겁창〔鐵矛〕·꺾창〔鐵戈〕등의 무기류와 쇠도끼·단조(鍛造)의 납작도끼〔板狀鐵斧〕·따비·낫 등의 농·공구류 등이 있다.

칠기로는 칼집·활·화살·두(豆)·잔〔杯〕·합(盒)·소쿠리·붓·부채 등이 있다. 특히, 목태칠기(木胎漆器)의 용기류가 많으며, 일부 주칠(朱漆)의 문양이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이 흑칠(黑漆)을 한 것이다. 토기로는 민무늬토기〔無文土器〕와 와질토기(瓦質土器)가 출토되었다. 영남지역의 와질토기로서는 첫 단계에 속하는 것들이며 칠기와 기형이 같은 것도 있다.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비 탁본(베껴 쓴)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심희(審希)의 탑비로, 원래 경남 창원의 봉림사터에 있던 것을 1919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심희(855∼923)는 9세에 출가하여 명산을 다니면서 수행을 하다가 경남 창원에서 봉림사를 창건하니, 이때부터 선문9산 중 하나인 봉림산문의 기운이 크게 일어났다. 궁으로 들어가 경명왕에게 설법을 하기도 하였고, 그 후 다시 봉림사로 돌아와 제자들을 지도하다 68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시호를 ‘진경대사’라 하고, ‘보월능공’이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탑비의 대체적인 내용)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받침돌의 거북머리는 유난히 크고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머리 위에는 뿔이 있던 작은 구멍이 있다. 등 위로는 비를 꽂아두기 위한 네모난 홈을 마련하였는데, 주위에 구름무늬가 가득하다. 비문이 새겨져 있는 비몸은 분실된 부분이 있어 옛 탁본을 참고로 복원해 놓았다. 머릿돌에는 구름속에 둘러싸인 두 마리의 용이 모퉁이에 각 한 마리씩 표현되어 있다.

통일신라 경명왕 8년(924)에 세워진 비로, 왕이 직접 비문을 짓고 행기(幸期)가 글씨를 썼으며 성휴(性休)가 새겼다. 각 조각들이 얕아지고 형식화된 경향이 있어 통일신라 후기의 쇠퇴하던 기풍을 보여준다.

고택의 향기와 대나무 숲의 고적함.
역사 민속 박물관의 다양함에 더불어
농기구와 소의 모습에서 고향의 그리움을
잠시나마 느낄 수 있는 의미가 예사롭지
않는 곳인 듯 싶습니다. 방문과 관람의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