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강화 전등사 대웅전 (江華 傳燈寺 大雄殿)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선조 38년(1605)과 광해군 6년(1614)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타버려,
그 이듬해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고 한다.
석가여래삼존불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보물 178호)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장식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네 모서리기둥 윗부분에는 사람 모습을 조각해 놓았는데
이것은 공사를 맡았던 목수의 재물을 가로챈 주모의 모습이라는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재물을 잃은 목수가 주모의 나쁜 짓을 경고하고 죄를 씻게 하기 위해
발가벗은 모습을 조각하여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는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3곳의 처마 밑에서는
두 손으로 처마를 받치며 벌을 받고 있는 모양새인데 비해, 한 귀퉁이의 것은 한 손으로만 처마를 받치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벌을 받으면서도 꾀를 부리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우리 선조들의 재치와 익살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佛身普邊十方中(불신보변시방중)
부처님은 온 세상에 두루 계시며
月印千江一切同(월인천강일체동)
천 개의 강에 달그림자 비춤이 모두 같고,
四智圓明諸聖士(사지원명제성사)
사지(四智)에 원만히 밝으신 모든 성인들이
賁臨法會利群生(분림법회이군생)
법회에 왕림하시어 모든 중생 이롭게 하시네.
보물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江華 傳燈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전북, 충남 등지에서 활동하던 수연(守衍)이 수화승으로 참여하여 1623년에 조성한 불상으로 수연이 수화승(首畵0僧)으로 조성한 작품들 가운데 지금까지 알려진 두 번째 불상이다. 삼불의 구성은 석가불을 본존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이 좌우에 협시하는 형식으로서 조선 후기에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삼세불의 도상을 보이고 있다. 불상들의 세부를 보면, 본존 석가불상은 단엄한 자세에 자비한 상호(相好)를 보이며, 좌우의 아미타불상과 약사 불상은 이목구비의 표현이나 비례 면에서 본존상보다는 다소 조형감이 떨어지는 편이다. 본존상은 상호(相好)의 표현이 근엄하고 전체적인 신체비례 면에서도 안정감이 느껴져 시기적으로 앞서는 같은 수연 작의 서천 봉서사 목조 아미타여래삼존좌상(1619년)에 비해 조각적으로 세련된 감각을 보여준다.
삼세불상의 얼굴은 각각 독특한 상호를 보이고 옷주름 표현기법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아마도 전등사 삼세불상 조성에 참여한 조각승들 가운데 수화승 수연과 함께 서천 봉서사 극락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1619년) 조성에 참여했던 성옥(性玉)의 조각적 개성이 표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 화원으로 참여한 영철(靈哲)은 이후 옥구 보천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1634년, 익산 숭림사 봉안)과 남원 풍국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1639년, 예산 수덕사 봉안)의 조성에 수연을 따라 참여했으며 성옥에 비해 연배가 아래인 조각승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등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조성원문을 통하여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조각적으로 우수하며, 조각승들과 나타난 발원시주자들의 명단이 잘 전하여 불상(佛像), 면금(面金), 체목금, 체목, 오금(烏金), 좌대(座臺), 보단(甫團), 채안(彩安), 복장(腹藏) 등 세부적인 시주 항목이 기록된 점 등에서 조선시대 불교조각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업경대
업경대는 망자의 죄업을 드러내 보인다고 하는 거울로 업경륜이라고도 한다. 전등사 업경대는 황색사자와 청색사자 1쌍으로 목각 사자의 몸체와 등 위에 커다란 화염문 거울이 꽂혀있다. 규모는 높이 107cm, 길이 65cm이다. 좌대 바닥에 ‘천계칠년정묘구월 십삼일 각록목화원밀영 천기 봉생(天啓七年丁卯九月 十三日 刻祿木畵員密英 天琦 奉生)’이라는 묵서 명문이 남아 있어 조선 인조 5년(1627)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등사 업경대는 조선 후기 불교 목공예품의 편년 설정·상호비교 연구의 획기적 자료로 평가된다.
네 모서리기둥 윗부분에는 사람 모습을 조각해 놓았는데
이것은 공사를 맡았던 목수의 재물을 가로챈 주모의 모습이라는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재물을 잃은 목수가 주모의 나쁜 짓을 경고하고 죄를 씻게 하기 위해
발가벗은 모습을 조각하여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는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3곳의 처마 밑에서는
두 손으로 처마를 받치며 벌을 받고 있는 모양새인데 비해, 한 귀퉁이의 것은 한 손으로만 처마를 받치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벌을 받으면서도 꾀를 부리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우리 선조들의 재치와 익살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너무도 너무도
오랜 세월이었습니다.
이제는 용서하소서.
가없는 죄도
다 던져버리시고 훌훌 떠나시오.
무섭사옵니다.
천년의 세월을 지탱한 업이
이제는 터지려고 합니다.
놓아주신 세월이여
해탈의 길로 인도하소서.
옴ॐ 옴
산스끄리뜨어인 옴은 정말 친근한 언어이다. 그저 신비하고 주문처럼 들리는 그런 말과 소리에 어김없이 등장한다. 가장 쉽게 접하는 진언 중의 하나인 <옴 마니 빧메 훔/옴 마니 반메 훔>도 그 중의 하나인 셈이다.
ॐ옴은 진언을 시작할 때 처음을 장식하는 음이며, 수많은 희망과 염원을 소원할 때, 신들을 찬양하거나, 그 경전을 열 때 사용되는 신비의 음이기도 하다.
불교의 경전에서는 ॐ은 지극한 찬양의 의미로 해석되며 엄이나 봉으로 음사되며, 경전에 따를 것 같으면 옴은 佛頂의 명호 입니다.
마니/보배, 보물
빤메/빠드마, 연꽃
훔/훔은 마침의 소리이다.
옴/ॐ 위의 해설
옴 마니 반메 훔이란 여섯 자로 여러 가지 유의미한 설이 난무 하지만, 글자대로 음미하자.
옴! 보석처럼 반짝이며 피어나는 연꽃처럼
청정함의 지혜로 번뇌의 삶을 정화하게 하소서.훔!
☆☆글. 이미지 일부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우리절 순례 > 경기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봉미산 신륵사 (2) | 2022.10.04 |
---|---|
전등사-202 (0) | 2010.08.22 |
연주암 연주대-197 (0) | 2010.05.05 |
칠현산 칠장사-66 (0) | 2006.03.26 |
순례-와우정사-65 (1) | 2006.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