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3장
詩曰(시왈)"衣錦尚絅(의금상경)."惡其文之著也(오기문지저야),
故君子之道(고군자지도),闇然而日章(암연이일장);
小人之道(소인지도),的然而日亡(적연이일망)君子之道(군자지도),淡而不厭(담이불염),简而文(간이문),温而理(온이리)!"
知遠之近(지원지근),知風之自(지풍지자),知微"之顯(지미지현),可與入德矣(가여입덕의)。
詩云(시운):"潛雖伏矣(잠수복의),亦孔之昭(역공지소)!"故君子內省不疚(고군자내성불구)"無惡於志(무오어지). 君子之所不可及者(군자지소불가급자), 其唯人之所不見乎(기유인지소불견호)!
詩云(시운):"相在爾室(상재이실),尚不愧于屋漏(상불괴우옥루).
"故君子不動而敬(고군자부동이경)不言而信(불언이신)。
詩曰(시왈):"奏假無言(주격무언),時靡有爭(시미유쟁)"
是故君子不賞而民勸(시고군자불상이민권),不怒而民威於鈇鉞(불노이민위어부월)
詩曰(시왈):"不顯惟德(비현유덕),百辟其刑之(백벽기형지)."
是故君子篤恭而天下平(시고군자독공천하평),
詩云(시운):"予懷明德(여회명덕)不大聲以色(부대성이색)"
子日(자왈):"聲色之於以化民(성색지어이화민),未也(말야)"
詩曰(시왈):"德輶如毛(덕유여모)"
毛猶有倫(모유유륜),
"上天之載(상천지재)無聲無臭(무성무취)."
至矣(지의)!
제33장
"시경"에서 말했다. "비단옷을 입고 그 위에 삼베 홑옷을 덧입었네.'
그것은 비단옷의 채색 무늬가 너무 두드러져 화려하게 보이는 걸 싫어함로다.
그러므로 군자의 도는 일견 어둑하지만 날로 맑고 밝게드러나고,
소인의 도는 일견 선명하지만 날로 빛을 잃고 흐려진다.
군자의 도는 담박하지만 밉지 않고, 간소하지만 문채가 있으며, 온후하지만 조리가 있나니, 무릇 먼 것은 가까운 것에서부터 비롯함을 알고,
뭇사람을 교화하는 것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야 함을 알며, 은미하고 미묘함은 결국 밖으로 뚜렷이 드러남을 안다면 더불어 성인의
도덕의 숭고한 경지에 들 수 있다.
[시경]에서 말했다. "'물속으로 가라앉아 숨은 물고기가 비록 몸을 깊이 숨겼겠지만/ 그래도 결국은 아주 분명히 드러나도다!"
그러므로 군자는 마음속 깊이 자신을 돌이켜 보아도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다.
범인凡人이 군자에게 미칠 수 없는 까닭은 아마 군자는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데에도 한껏 스스로 삼가기 때문이리라!
시경에서 말했다. "그대 홀로 방안에 있을 때를 보는데/더욱 신명神明께 부끄럽지 않도록 헤야 하리라."
그러므로 군자는 행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삼가는 마음을 가지고, 말을 하지 않을 때에도 신실한 마음을 갖는다.
[시경]에서 말했다. "주제 主祭가 경건히 제사 올리며 신의 감응에 감격해 묵묵히 말이 없으매/ 당시 제사 참석자들 모두 숙연해져 전혀
다툼이 없도다."
그러므로 군자는 상을 주어 칭찬하지 않아도 백성들이 절로 고무 격려되고, 화를 내지 않아도 백성들이 작두나 도끼 같은 형구刑具보다 두려워한다. 시경.에서 말했다. "천자가 훌륭한 덕성을 충실히 드러내면/사방의 제후들이 모두 본받을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범사에 삼가고 공경함을 돈독히 하는 까닭에 천하가 절로 태평하게 다스려지는 것이다
[시경]에서 말했다. "나 상제上帝는 문왕의 밝고 아름다운 덕행이 그립나니/ 그대는 결코 목소리를 사납게 높이거나 표정을 무섭게 짓지를 않았도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나운 목소리와 무서운 표정을 쓰는 것은 백성을 교화하는 데에 있어 최最하류의 방법이다."
[시경에서 말했다. "미덕은 깃털같이 가볍도다." 하지만 깃털 같다고 함은 오히려 비유할 것이 있는 것이다.
그에 반해 "하늘이 만물을 실어화육함은 /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도다"라는 것이야말로 진정 도덕의
지극한 경지로다.
詩曰(시왈)"시경"에서 말했다. "
衣錦尚絅(의금상경).비단옷을 입고 그 위에 삼베 홑옷을 덧입었네.'
惡其文之著也(오기문지저야)그것은 비단옷의 채색 무늬가 너무 두드러져 화려하게 보이는 걸 싫어함로다 .
故君子之道(고군자지도)그러므로 군자의 도는
闇然而日章(암연이일장)일견 어둑하지만 날로 맑고 밝게 드러나고
小人之道(소인지도)소인의 도는
的然而日亡(적연이일망)일견 선명하지만 날로 빛을 잃고 흐려진다.
君子之道(군자지도)군자의 도는
淡而不厭(담이불염)담박하지만 밉지 않고
简而文(간이문)간소하지만 문채가 있으며
温而理(온이리)온후하지만 조리가 있나니,
知遠之近(지원지근)무릇 먼 것은 가까운 것에서부터 비롯함을 알고,
知風之自(지풍지자)뭇사람을 교화하는 것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야 함을 알며
知微之顯(지미지현)은미하고 미묘함은 결국 밖으로 뚜렷이 드러남을 안다면
可與入德矣(가여입덕의)더불어 성인의
도덕의 숭고한 경지에 들 수 있다.
詩云(시운)시경에서 말했다.
潛雖伏矣(잠수복의)물속으로 가라앉아 숨은 물고기가 비록 몸을 깊이 숨겼겠지만
亦孔之昭(역공지소)그래도 결국은 아주 분명히 드러나도다!"
故君子內省不疚(고군자내성불구)그러므로 군자는 마음속 깊이 자신을 돌이켜 보아도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無惡於志(무오어지)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다.
君子之所不可及者(군자지소불가급자)범인凡人이 군자에게 미칠 수 없는 것은
其唯人之所不見乎(기유인지소불견호)
아마 군자는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데에도 한껏 스스로 삼가기 때문이리라!
詩云(시운)시경에서 말했다
相在爾室(상재이실)그대 홀로 방안에 있을 때를 보는데
尚不愧于屋漏(상불괴우옥루)더욱 신명神明께 부끄럽지 않도록 해야 하리라."
故君子不動而敬(고군자부동이경)그러므로 군자는 행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삼가는 마음을 가지고,
不言而信(불언이신)말을 하지 않을 때에도 신실한 마음을 갖는다.
詩曰(시왈)시경에서 말했다
奏假無言(주격무언)주제가 경건히 제사 올리며 신의 감응에 감격해 묵묵히 말이 없으매
時靡有爭(시미유쟁)당시 제사 참석자들 모두 숙연해져 전혀 다툼이 없도다
是故君子不賞而民勸(시고군자불상이민권)그러므로 군자는 상을 주어 칭찬하지 않아도 백성들이 절로 고무 격려되고
不怒而民威於鈇鉞(불노이민위어부월)화를 내지 않아도 백성들이 작두나 도끼 같은 형구보다 두려워한다
詩曰(시왈)시경에서 말했다
不顯惟德(비현유덕)천자가 훌륭한 덕성을 충실히 드러내면
百辟其刑之(백벽기형지)사방의 제후들이 본받을 것이다.
是故君子篤恭而天下平(시고군자독공천하평)그러므로 군자는 범사에 삼가고 공경함을 돈독히 하는 까닭에 천하가 절로 태평하게 다스려지는 것이다.
詩云(시운)시경에서 말했다
予懷明德(여회명덕)나 상제는 문왕의 밝고 아름다운 덕행이 그립나니
不大聲以色(부대성이색)그대는 결코 목소리를 사납게 높이거나 표정을 무섭게 짓지를 않았도다.
子日(자왈)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聲色之於以化民(성색지어이화민)사나운 목소리와 무서운 표정을 쓰는 것은 백성을 교화하는 데에 있어 최最하류의 방법이다."
未也(말야) 최最하류의 방법이다."
시경에서 말했다. "미덕은 깃털같이 가볍도다." 하지만 깃털 같다고 함은 오히려 비유할 것이 있는 것이다.
그에 반해 "하늘이 만물을 실어 화육함은 /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도다"라는 것이야말로 진정 도덕의
지극한 경지로다.
詩曰(시왈)시경에서 말했다
德輶如毛(덕유여모)미덕은 깃털같이 가볍도다
毛猶有倫(모유유륜)깃털 같다고 함은 오히려 비유할 것이 있는 것이다.
上天之載(상천지재)하늘이 만물을 실어 화육함은
無聲無臭(무성무취)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도다
至矣(지의)이것이야말로 진정 도덕의 지극한 경지로다.
■의금상경 (衣錦尙絅): 비단옷을 입고 그 위에 삼베 홀옷을 덧입음. '의'는 동사로,옷을 입음. '금'은 채색 무늬를 수놓은 비단옷, '상'은 더함(加). '경'은 경褧과 같음.
■오(惡)싫어함. 꺼림.
■ 문(文)문채, 무늬ㅣ
■저 (著): 현저顯저함, 즉 뚜렷이 드러남, 두드러집. 곧 (채색 무늬가) 선명함, 눈부심,
화려함을 이름
■암연(闇然): 어두운, 어둑한 모양, 여기서는 도광, 즉 재능이나 학식 따위를 깊이 감추고 드러내지 않는 모양을 이름.
■장(章): 창호과 같음. 나타남, 드러남.
■적연(적연): 선명한, 현저한 모양. '적'은 밝음, 환히 나타남.
■망(亡): 없어짐, 사라짐. 곧 흐려집, 빛을 잃음을 이름, 1서가에
■염(厭): 싫음, 미움, 물림.
■리(理): 조리, 즉 말이나 글 또는 일이나 행통에서 앞뒤가 들어맞고 체계가 서는 갈피
■ 풍(풍)풍교,풍화 즉 교육이나 정치의 힘으로 민중의 풍습을 교화함
■미(微) 은미함, 미묘함, 희미함,갈피.
■잠 (潛): 잠어 즉 물속에 깊이 습어 있는 물고기
■복(伏)숨음, 숨김.
■공(孔): 매우, 대단히
■소(昭). 밝음, 밝게 드러남.
■내성(內省)내심으로 반성함. 곧 마음 깊이 자신의 언행을 돌이켜 살펴봄을 이르는 말.
■구(疚)꺼림함. 곧 거리끼거나 부끄러워 양심의 가책을 느낌을 이름.
■무오어지 (無惡於之): 무괴어심과 같음. 언행이 발라서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음.'오'는 부끄러움, 부끄러워함. 일설에는 불만함, 미흡함.
■군자지소불가급자(군자지소불가급자) 곧 범인이 군자에게 미칠 수 없는 것(까닭)이라는 말. '소'는여기서는 소이의 뜻으로 이해됨. 까닭, 이유. '급'은 미침, 따라잡음.
■기유인지소불견호: 아마도 바로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바에 있으리라! 곧 군자는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데에도 한껏 스스로 삼가며 수신.
■상(相)봄(視)
■재이실(在爾室)그대의 방에 있음. 이는 그대가 혼자서 방안에 거처함을 두고 이른 말임. '爾이'는 제이인칭대명사. 너, 그대.
■상 (尙)오히려. 여기서는 (오히려) 더욱 ~해야 함을 뜻함.
■옥루(屋漏 )집의 서북쪽 구석의 지붕창(天窓)을 이르는 말. 엣날에는 가옥의 서북쪽 구석 위 지붕에 천창을 내어 햇볕도 들고 공기나 연기도 드나들게 했으므로 '옥루'라고 함. 그곳에는 또 신주를 모셔놓고 때맞춰 제사를 지내기도 함. 그 때문에 여기서는 곧 '옥루'로 신명神明을 대신 일컬음.
■경(敬): 경신敬信, 즉 공경하며 삼감.
■주격(奏假) 경건히 제사 올리며 신명의 감응에 감격함. '주'는 나아감. 곧 신전神前에 나아가 제사하며 기도함을 이름. '격'은 격格과 같음.
곧 감격함, 감동함을 이름.
■무언(無言) 묵묵히 말이 없음. 여기서는 곧 은근히 감화받은 모양을 형용함
■미유(靡有)없음. '미'는무無와 같음.
■爭(쟁): 쟁집爭執, 즉 서로 자기 의견을 고집해 옥신각신 다툼.
■상(賞) 상사賞賜 (상을 주어 칭찬함), 상찬賞讚(좋은 것을 기리어 칭찬함)함.
■권(勸) 권면 권려(勸勵)곧 고무 격려됨을 이름
■위(威):두려워함(畏 ).
■어(於): 비교의 어조사, ~보다.
■부월(鈇鉞)'부는 작두(작도). '월'은 큰 도끼. 이는 모두 엣날에 죄인을 사형에 처할 때 쓴 형구임.
■비현(不顯)크게(충실히) 발현함, 드러냄. '비'는 丕와 같음.
■유(惟): 구절 중에 쓰이는 어조사로, 음절을 조정하는 작용을 함
■백벽(百벽辟): 제후. '벽'은 군왕, 군주.
■刑(형): 型과 같음. 여기서는 동사로, 본받음. ㆍ
■독공(篤恭): 공경을 돈독히(도탑고 성실하게) 함.
■여(予) 나. 여기서는 상제上帝, 즉 하느님의 자칭.
■회(회)생각함, 그리워함. 이는 곧 마음에 들어한다는 말임.
■명덕( 明德): 밝은 덕행. 이는 주 문왕의 덕성.덕행을 두고 이름
■대성이색 (大聲以色): 음성과 용색容色을 크게 함. 이는 목소리를 사납게 높이고.
표정을 무섭게 짓는다는 뜻으로, 곧 크게 호령하며 무서운 기세와 서슬로 백성을 다스림을 두고 이름. '색'은 용색, 즉 용모와 안색. 곧 표정을 이름. '이'는 여롯와 같음.
■말 (末): 말단, 하류 . 곧 하책下策, 하계 下計라는 말.
■유(유輶) 가벼움(輕).
■윤 (倫): 비(유)함, 견줌.
■재 (載): 실음. 하늘이 만물을 실어 화육함을 이름.
■취(臭)냄새.
●●●
자사는 여기서 [시경J의 관련 구절을 두루 인용해 군자가 추구하는 중용의 도를 총괄 논술함으로써 [중용J 전권을 총결했다.
첫째, 군자의 도와 소인의 도를 대비하는 가운데 중용의 도야말로 진정 고귀한 것으로서 성덕聖德에 드는 근본임을 역설했다. 군자의 수덕은 내실, 즉 내적인 가치와 충실성에 주력할 뿐이며, 화이부실 한 외표를 추구하지 않는다. 군자는 겸허한 마음으로 남몰래 공력을 다하며 내실을 다지는 까닭에, 처음에는 그 고귀하고 심원한 진
상태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군자의 도는 담박하지만 밉지않고, 간소하지만 문채가 있으며, 온후하지만 조리가 있나니", 외표는 비록 담소談
素 하고 무던하나 내실은 더없이 심후하고 정치精緻하며 다채롭기가 마치 비단옷 위에 삼베 홑옷을 덧입은 듯하다.
그런 만큼 시간이 지나면서 그 성실하고 돈독한 덕성은 날로 사람들을 매료하며 점차 빛을 발하게 된다. 반면 유명무실한 외표에 힘을 쏟는 소인의 경우에는 사람을 매혹하는 그 화려함은 잠시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본질이 여실히 드러나면서 곤혹한 지경에 처하게 될 따름이다.
둘째, 신독愼篤 존양存養(천부의 선성을 보존하며 공명정대한 원기를 함양함)이 군자가 도덕을 수양하는 기본 방법이자 핵심 조예임을 역
설했는데, 이는 곧 중용 첫머리에서 제시한 신독의 의의에 호응한 것이다.
셋째, 군자의 신독 수신을 바탕으로 한 덕화德化(덕행으로 다른 사람을 감화함)의 정치적 작용과 효과를 역설했다. 군자, 다시 말해 유덕한 군주는 일언일행이 지극히 참되고 정성스러워 만인의 귀감이 되면서 저절로 무한한 감화력을 발휘한다.
넷째, 중용의 도가 발휘하는 덕화의 위대함을 역설 찬탄했다. 무룻 돈후한 덕행으로 백성을 감화하는 것이 위정 치국의 근본이라면, 무서운 형벌로 백성을 다스리는 것은 그 하책이다. . 자사는 이같이 중용의 도가 천인합일의 신묘한 작용과 효험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역설함으로써 [중용]전권의 주지초를 총결했다.
주자가 이른 대로, 이렇듯 거듭거듭 정녕히 사람들을 일깨우는 뜻이 한없이 깊고 절실하거니, 배우는 이가 어찌 심력을 다해 정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중용공부 完]
●참고 서적:
박삼수 역,대학 ㆍ중용
김혁제 교열본, 대학 ㆍ중용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대학 중용
중용中庸-제33장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