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담무갈(釋曇無竭)
석담무갈은 중국말로는 법용(法勇)이라 한다. 성(姓)은 이(李)씨이고 유주(幽州) 황룡(黃龍) 사람이다. 어려서 사미가 되어 곧 고행(苦行)을 닦았다. 계율을 지니고 경전을 독송하여 은사가 소중히 여겼다.
일찍이 법현(法顯) 등이 몸소 부처의 나라로 갔다는 소문을 듣고는, 슬퍼서 몸을 돌보지 않으리라는 서원[忘身之誓]을 세웠다.
마침내 유송(劉宋) 영초(永初) 원년(420)에 뜻을 같이하는 사문 승맹(僧猛)과 담랑(曇朗) 등의 무리 25명을 불러모았다. 번개(幡蓋)와 공양(供養) 도구를 갖추고, 북쪽 지방을 출발하여 멀리 서쪽 방향으로 나아갔다.
釋曇無竭此云法勇姓李幽州黃龍人也幼爲沙彌便修苦行持戒誦經爲師僧所重嘗聞法顯等躬踐佛國乃慨然有忘身之誓遂以宋永初元年招集同志沙門僧猛曇朗之徒二十五人共齎幡蓋供養之具發迹北土遠適西方
처음에는 하남국(河南國)에 이르렀다. 이어서 해서군(海西郡)으로 나와 고비 사막으로 진입하여, 안으로 들어가 고창군(高昌郡)에 도착하였다. 구자국(龜玆國)과 사륵국(沙勒國) 등의 여러 나라들을 경유하여, 파미르 고원에 올라 설산(雪山)을 넘었다. 장기(障氣: 毒氣)는 천 겹이고, 층층이 쌓인 빙설은 만 리요, 아래로는 큰 강이 쏜살같이 흘렀다.
동쪽과 서쪽의 두 산허리에 굵은 줄을 매어 다리로 삼았다. 열 사람이 일단 건너가 저쪽 기슭에 도착하면, 연기를 피워 표지로 삼았다. 뒷사람은 이 연기를 보고 앞사람이 이미 도착했음을 알아, 비로소 다시 나아갈 수 있었다. 만일 오랫동안 연기를 보지 못하면, 사나운 바람이 그 줄을 흔들어 사람이 강물 속으로 떨어졌음을 알았다.
初至河南國仍出海西郡進入流沙到高昌郡經歷龜茲沙勒諸國登蔥嶺度雪山障氣千重層冰萬里下有大江流急若箭於東西兩山之脅繫索爲橋十人一過到彼岸已擧煙爲幟後人見煙知前已度方得更進若久不見煙則知暴風吹索人墮江中
설산을 넘은 지 3일이 지나 다시 대설산(大雪山)에 올랐다. 깎아지른 듯한 절벽에는 어디에도 발 디딜 곳이 없었다. 절벽에는 모두 곳곳에 오래된 말뚝 구멍이 서로 마주 대하고 늘어 서 있었다.
한 사람이 각각 네 개의 말뚝을 쥐었다. 먼저 아래의 말뚝을 뽑아, 손으로 위의 말뚝을 더위잡고 기어올랐다. 계속해서 서로 바꿔가며 기어 올라갔다. 하루를 지내고야 가까스로 넘어왔다. 평지에 도착하여 서로 점검해 보니, 동료 열두 명을 잃었다.
行經三日復過大雪山懸崖壁立無安足處石壁皆有故杙孔處處相對人各執四杙先拔下杙手攀上杙展轉相攀經日方過及到平地相待料撿同侶失十二人
계속 나아가 계빈국(罽賓國)에 이르러 부처님의 발우에 예배하였다. 1년 남짓 계빈국에 머무르는 동안 범서와 범어(산스끄리뜨)를 배웠다. 이곳에서 범문(梵文)으로 된 『관세음수기경(觀世音受記經)』 한 부를 구했다.
다시 사자의 입[師子口]이라 해석하는 신두나제하(辛頭那提河)에 이르렀다. 하천을 따라 서쪽으로 월지국(月氏國)에 들어가 부처님의 육계(肉髻)와 불정골(佛頂骨)에 예배하였다. 저절로 물이 끓어오르는 목방(木舫)을 친견하였다.
그 후 단특산(檀特山) 남쪽에 있는 석류사(石留寺)로 갔다. 그곳에서 머무르는 승려 3백여 명은 모두 3승(乘)의 교학을 배웠다. 담무갈은 이 절에 머물러 구족계를 받았다.
進至罽賓國禮拜佛鉢停歲餘學梵書梵語求得『觀世音受記經』梵文一部復西行至辛頭那提河漢言師子曰緣河西入月氏國禮拜佛肉髻骨及睹自沸木舫後至檀特山南石留寺住僧三百餘人雜三乘學無竭停此寺受大戒
차차 사위국(舍衛國)에 이를 무렵, 들판에서 산 코끼리[山象] 한 떼를 만났다. 담무갈은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부르고 신명을 다하여 가르침에 귀의하였다. 곧 수풀 속에서 사자가 튀어 나와, 코끼리떼가 놀라 어쩔 줄을 모르며 달아났다.
뒤에 항하(恒河)를 건넜다. 또 들소 한 떼를 만났다. 으르렁거리며 달려들어 막 사람을 해치려 하였다. 담무갈은 귀의하기를 처음과 같이 하였다. 이윽고 커다란 솔개가 날아오니, 들소들이 놀라 흩어져서 드디어 벗어날 수 있었다. 그의 정성스러운 마음에 감응하여, 위험에 처하여 구제 받은 것이 모두 이러한 종류였다.
將至舍衛國野中逢山象一群無竭稱名歸命卽有師子從林中出象驚惶奔走後渡恒河復値野牛一群鳴吼而來將欲害人無竭歸命如初尋有大鷲飛來野牛驚散遂得免之其誠心所感在險剋濟皆此類也
뒤에 남천축국(南天竺國)에서 배를 타고 바닷길로 광주(廣州)에 도착하였다. 그가 겪은 일의 자취는 별도로 전기(傳記)가 있다. 그가 번역한 『관세음수기경(觀世音受記經)』은 오늘날 경도에 전한다. 후에 그가 돌아가신 곳은 알지 못한다.
後於南天竺隨舶汎海達廣州所歷事迹別有記傳其所譯出『觀世音受記經』今傳于京師後不知所終
출처: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고승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승전-제3권 불타집 (45) | 2025.01.25 |
---|---|
고승전/법현전-3 (22) | 2025.01.09 |
법현의 역경 여정-2 (63) | 2025.01.03 |
법현의 역경 여정-1 (85) | 2024.12.21 |
불야다라의 역경 여정 (61)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