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보상절

싯다르타 남문 밖에서 병자를 만나다.(사문유관-남)

by 돛을 달고 간 배 2024. 5. 10.
반응형

사문유관-싯타르타/남문 밖에서 병자를 만나다.


태자는 다시 얼마 지나서 왕에게 나가 놀며 구경하겠다고 아뢰었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마음으로 걱정하면서 스스로 생각하였다.
‘태자는 전에 나가 노인을 만나보고는 근심하고 언짢아하였는데 어찌하여 지금 다시 나가겠다는 것인가?’
왕은 태자를 사랑하는지라 차마 뜻을 거스르지 못하고 마지못해 허락하고는 곧 모든 신하들을 모아 놓고 함께 의논하였다.

“태자는 전에 성의 동쪽 문을 나가 노인을 만나보고 그만 돌아와서는 언짢아하였소. 지금 다시 나가서 놀며 구경하겠다고 하였는데 나는 거절할 수가 없어 드디어 또 허락하였소.”
모든 대신들이 대답하였다.
“다시 밖의 모든 관속들에게 엄하게 명하여 도로를 정비하고 비단깃발과 일산을 걸고 꽃을 뿌리며 향을 사르면서 화려하게 하고는 악취 나는 것과 모든 정결하지 못한 것, 그리고 노인이나 병든 이가 길옆에 있지 않게 하겠습니다.”
그 당시 가비라계도성(迦毘羅雞兜城)의 네 개의 성문 밖에는 각각 하나씩의 동산이 있어서 나무와 꽃과 열매와 목욕하는 못과 누관(樓觀)이 갖가지로 장식되어 그보다 더 좋은 것이 없었다.
왕은 모든 신하들에게 물었다.
“밖의 모든 원관(園觀)은 어느 것이 더 훌륭하오?”
모든 신하들이 대답하였다.
“밖의 모든 원관은 다 똑같아서 그 이상이 없으며, 마치 도리천(忉利天)에 있는 환희의 동산과 같습니다.”
왕은 또 명하였다.
“태자가 전에 나갔던 데는 동쪽 문이었으니, 이번에는 남쪽 문으로 나가도록 하시오.”
그때 태자는 백관이 인도하고 따르면서 성의 남쪽 문으로 나갔다.
그러자 정거천은 병든 사람으로 변화하였다. 몸은 바짝 마르고 배는 퉁퉁 불러 있으며 숨을 헐떡거리면서 앓는 소리를 내며 뼈는 스러지고 살은 다하였으며 얼굴 모습은 노랗고 온몸은 벌벌 떨며 스스로 지탱할 수 없었으므로 두 사람이 겨드랑이를 끼고 길옆에 있었다.
태자가 물었다.
“이는 어떤 사람입니까?”
시종이 대답하였다.
“이 사람은 병든 사람입니다.”
태자는 또 물었다.
“무엇을 병들었다고 합니까?”
대답하였다.
“병이라는 것은 모두 기욕(嗜慾)으로 말미암아서입니다
. 음식에 정도가 없으면 4대(大)가 고르지 못하여 차츰차츰 변하여 병이 되고 온갖 뼈마디가 아프면서 기력이 쇠미해지며 먹고 마시는 것이 적은지라 누워 잠을 자도 편안하지 않고 비록 몸과 손이 있더라도 스스로 움직일 수 없어 반드시 다른 이의 힘을 빌린 뒤에야 앉고 일어나게 됩니다.”
그때 태자는 자비로운 마음으로 병든 사람을 보고 스스로 근심하면서 다시 물었다.
“이 사람 혼자만이 그런 것이오? 다른 이들도 모두 그러한 것이오?”
대답하였다.
“모든 백성들은 귀천의 구별 없이 모두 이러한 병이 있습니다.”
태자는 들은 뒤에 마음속으로 스스로 생각하였다.
‘이와 같은 병고는 두루 걸리는 일이거늘 어찌 세간 사람들은 쾌락에 빠져서 두려워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한 뒤에 몹시 두려워하면서 몸과 마음이 덜덜 떨리는 것이 마치 달 그림자가 물결치는 물 위에 나타나듯 하면서 시종에게 말하였다.
“이와 같이 몸은 바로 큰 고통의 덩어리인데 세상 사람들은 그 가운데서 멋대로 기뻐하고 즐거움을 내며 어리석고 앎이 없어서 깨달을 줄 모르는구나. 이제 무엇 하러 저 동산으로 가서 놀고 구경하며 즐기겠느냐?”
곧 수레를 돌려서 왕궁으로 돌아와 앉아 스스로 명상에 잠겨 걱정하며 기뻐하지 않았다.
왕은 시종에게 물었다.
“태자가 이번에 나가서는 얼마라도 즐거운 일이 있었느냐?”
시종이 대답하였다.
“처음 남쪽 문으로 나서자마자 병든 사람을 만났습니다. 이 때문에 언짢아하면서 곧 수레를 되돌려 돌아오고 말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