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10장 향당(鄕黨)

향당(鄕黨)-2

by 돛을 달고 간 배 2021. 5. 5.
반응형

군자 불이감추 식 홍자 불이위설복
君子 不以紺추 飾 紅紫 不以爲褻服
1. 군자는 짙푸른 색과 검붉은 색으로 옷의 가선을 두르지 않았다.

당서 진치격 필표이출지
當署 袗치격 必表而出之
1.더위를 당해서는 가는 갈포와 굵은 갈포로 홑옷을 만들어 반드시 걸쳐서 밖으로 내어 입었다.

치의 고구 소의 예구 황의 호구 설구 장 단우몌
緇衣 羔구 素衣 예구 黃衣 狐구 褻구 長 短右袂
1. 검은 옷에는 염소 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흰 옷에는 사슴 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노란 옷에는 여우 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었다. 평상시의 갖옷은 길게 하되, 오른쪽 소매를 짧게 하였다.

필유침의 장 일신유반 호학지후 이거
必有寢衣 長 一身有半 狐학之厚 以居
1. 반드시 잠옷이 있었으니, 길이가 한 길 반이었다. 여우와 담비의 두꺼운 털방석을 깔고 거처하였다.

거상 무소불패 비유상 필쇄지 고구현관 불이조
길월 필조복이조
去喪 無所不佩 非유裳 必殺之 羔구玄冠 不以조
吉月 必朝服而朝
1. 상복을 벗은 뒤에는 패물을 차지 않은 것이 없었다. 예복으로 입는 치마가 아니면, 반드시 치마의 위 폭을 줄여서 꿰매었다. 염소 가죽으로 만든갖옷을 입거나 검은 관을 쓰고는 조문하지 않았다. 초하룻날에는 반드시 조복을 입고 조회하였다.

10-7
재필유명의 포 재필변식 거필천좌
齊必有明衣 布 齊必變食 居必遷坐
재계할 때에는 반드시 목욕옷이 있었으니, 베로 만들었다. 재계할 때에는 반드시 음식을 바꾸며, 거처하는 곳도 반드시 자리를 옮겼다.

10-8
식불염정 회불염세 사의이애 어뇌이육패 불식
食不厭精 膾不厭細 食의而애 魚뇌而肉敗 不食
1. 밥은 곱게 빻은 쌀로 지은 것을 싫어하지 않으며, 회는 가늘게 썬 것을 싫어하지 않는다.

색악불식 취악불식 실임불식 불시불식
色惡不食 臭惡不食 失임不食 不時不食
1. 밥이 상하여 쉰 것과 생선이 상하고 고기가 부패한 것을 먹지 않았다. 빛깔과 냄새가 나쁜 것을 먹지 않았다. 잘못 익히거나 때에 맞지 않으면 먹지 않았다.

할부정 불식 부득기장 불식 육수다 불사승사기 유주무량 불급란
割不正 不食 不得其醬 不食 肉雖多 不使勝食氣 唯酒無量 不及亂
1. 자른 것이 바르지 않거나 장이 없으면 먹지 않았으며, 고기가 비록 많더라도 밥기운을 이기게 하지 않으며, 술은 일정한 양은 없었는데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는 않았네.

고주시포 불식 불철강식 부다식 제어공 불숙육 제육 불출삼일 출삼일 불식지의
沽酒市脯 不食 不撤薑食 不多食 祭於公 不宿肉 祭肉 不出三日 出三日 不食之矣
1.시장에서 사온 술과 포는 먹지 않았고, 생강은 많이 먹지는 않았다. 나라에서 제사 지내고 내려온 고기는 밤을 넘기지 않고, 집에서 제사 지낸 고기도 삼일을 넘기지 않았고, 삼일이 지나면 먹지 않았다.

식불어 침불언 수소사채갱 필제 필제여야
食不語 侵不言 雖소食菜羹 必祭 必祭如也
1. 음식을 먹거나 잠잘 때에는 말하지 않으며, 비록 거친 밥과 나물국이라도 반드시 제를 올리되 공경하게 하였다.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10장 향당(鄕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당(鄕黨)-3  (0) 2021.05.06
향당(鄕黨)-1  (0) 2021.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