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3장 팔일(八佾)

팔일(八佾)-2

by 돛을 달고 간 배 2021. 1. 2.
반응형

자왈 하례 오능언지 기부족징야
子曰 夏禮 吾能言之 <木己>不足徵也
은례 오능언지 송부족징야
殷禮 吾能言之 宋不足徵也
문헌 부족고야 족즉오능징지의
文獻 不足故也 足則吾能徵之矣
1. 자왈. 夏의 禮를 내 능히 니르나 기에 足히 徵티 못하며, 殷의 禮를 내 能히 니르나 宋에 足히 徵티 못함은 文과 獻이 足디 못한 故니 足하면 내 能히 徵하리라.
2. 자왈. "夏나라의 예를 내가 말 할 수있지만, 기나라에서 증거하기에 부족하며, 은나라의 예를 내가 말할 수 있지만, 송나라에서 증거가 부족한 것은, 문헌이 부족하기 때문이니, 충분하다면 내가 증거할 수있다."
3. 夏-기-殷-宋

자왈 체자기관이왕자 오불욕관지의
子曰 체自旣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
1.자왈. 체이 이의 灌하으로 부터往한 者난 내 보고저 아니 하노라.
2.자왈. 체(示帝)제사에서 이미 술을 부어 신을 내려오게 한 뒤로는 내가 보려고 하지 않는다.
3. 체는 천자가 시조에게 드리는 제사<제후국인 노나라가 천자의 예를 행함은 비례로 봄> 灌은 강신 절차로 술을 땅에 붓고 향기로 신을 내려오게 함.

혹문체지설 자왈 부지야 지기설자지어천하야
或問체之說 子曰 不知也 知其說者之於天下也
기여시제사호 지기장
其如示諸斯乎 指其掌
1.或이 체의 說을 뭇자온대 자왈. 아디 못하노라. 그 說을 아는 者이 天下에 그 이랄 봄갓한더 하시고 그 掌을 가라쳐시다.
2.어떤 사람이 체제사의 설에 대해 질문하자, 자왈. "알지 못하겠다. 그 설을 아는 사람은 천하에 대해서 여기에 놓고 보는것 같을 것이다. 라고하고, 자신의 손바닥을 가리켰다.

제여재 제신여신재 자왈 오불여제 여부제
祭如在 祭神如神在 子曰 吾不與祭 如不祭
1.祭 하사대 있는듯이 하시며, 神을 祭하사대 神이 있는 듯이 하더시다. 자왈. 내 祭에 與티 못하면 祭 아니함만 갓타니라.
2.조상을 제사할 때는 조상이 있는 듯 하며,
신을 제사할 때는 신이 있는 듯 하였다. 자왈. "내가 제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마치 제사하지 않은것 같다."

왕손가문왈 여기미어오 영미어조 하위야
王孫賈問曰 與其媚於奧 寧媚於조 何謂也
자왈 불연 획죄어천 무소도야
子曰 不然 獲罪於天 無所禱也
1.王孫賈이 뭇자와 가로대 그 奧에 媚하으로 더불어 론찰하리 조에 媚할띠라 하니 엇띠 닐음이니잇고. 자왈. 그렇지 아니다. 罪를 하늘 꿰어 드면 禱할째 업스니라.
2. 왕손가가 물었다. " 안방 신에게 아첨하기 보다는 차라리 부엌 신에게 아첨한다. 고 하니 무엇을 말한 것입니까? 자왈."그렇지 않다. 하늘에 죄를 얻으면 기도할 곳이 없다."
3. 왕손가는 위나라 대부/부엌신, 실권. 오는 안방신. 조는 부엌신.


자왈 주감어이대 욱욱호문재 오종주
子曰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
1. 자왈. 周이 二代에 監하니 郁郁히 文한디라 내 周를 쫓
츠리라.
2. 자왈. "주는 하와 은을 본받았으니, 빛나고 빛나는 문화여! 나는 주나라늘 따르겠다."


자입태묘 매사 문 혹왈 숙위추인지자 지례호
子入大廟 每事 問 或曰 孰謂鄒人之子 知禮乎
입태묘 매사 문 자문지 왈시례야
入大廟 每事 問 子聞之 曰是禮也
1. 子이 大廟에 들어 매사를 무르신대, 혹이 가로대 뉘 닐오대 鄒인의 자를 禮를 안다 하더뇨. 大廟에 드러 每事를 뭇고녀 子이 드르시고 가라사대 이 禮이니라.
2. 공자가 태묘에 들어가 매사를 묻자 어떤 사람이 말하였다. " 누가 추땅 사람의 아들이 예를 안다고 말하였는가? 태묘에 들어가서 매사를 묻는구나!" 공자가 듣고 말하였다. "이것이 예이다."



자왈 사부주피 위력부동과 고지도야
子曰 射不主皮 爲力不同科 古之道也
1. 자왈. 射함에 皮를 主티 아니함은 힘이 科이 同티 아님을 爲하애니 녯 道이니라.
2. 자왈. " 활을 쏘는데 가죽을 뚫는 것을 주로 하지 않는 것은 히의 등급이 같지 않기 때문이니, 그것은 옛날의 도이다."


자공 욕거곡삭지희양 자왈 사야 이애기양 아애기례
子貢 欲去告朔之희羊 子曰 賜也 爾愛其羊 我愛其禮
1. 자공이 삭을 고하난 희양을 去코져 한대, 자왈. 賜아 너난 그 羊을 愛하난가, 나는 그 禮를 愛하노라.
2. 자공이 초하루를 고하는 희생양을 없애고자 하자 자왈.
"사야, 너는 그 양을 아까워하느냐? 나는 그 예를 아까워한다."


자왈 사군진례 인 이위첨야
子曰 事君盡禮 人 以爲諂也
1. 자왈. 君을 섬기에 禮를 다하을 사라이 써 諂한다 하나다.
2. 자왈. " 임금을 섬기는데 예를 다하는 것을 사람들이 아첨한다고 한다.



정공 문군사신 신사군 여지하
定公 問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공자대왈 군사신이례 신사군이충
公子對曰 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1. 定公이 뭇자오대 君이 臣을 부리며, 臣이 君을 섬기대
엇지하리잇고. 公子 對하여 가로대 君이 臣을 부리대 禮로써 하며, 君이 臣을 섬기대 忠으로써 할지니라.
2. 정공이 물었다." 임금이 신하를 부리면,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데 어떻게 해야 합니까?" 자왈. "임금은 예로 신하를 부리며 신하는 충성으로 임금을 섬겨야 합니다."


자왈 관저 낙이불음 애이불상
子曰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1.자왈. 關雎는 樂호대 淫티 아니하고, 哀호대 傷티 아니하니라.
2.자왈. "관저는 즐거움면서도 지나치지 않고, 슬프면서도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출처: https://48324ksj.tistory.com/entry/八佾팔일-2 [파도결속의 동백]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3장 팔일(八佾)'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일(八佾)-3  (0) 2021.01.02
팔일(八佾)-1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