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스끄리뜨(범어) 금강경/제13장

뒤로 가는 금강경 공부 13-3

by 돛을 달고 간 배 2025. 2. 15.
반응형

13-3 거룩한 모습은 모습이 아니다.

🦜🦜산스끄리뜨 원문
भगवानाह ।
तत्किं मन्यसे सुभूते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स्तथागतोऽर्हन्सम्यक्संबुद्धो द्रष्टव्यः ।सुभूतिराह । नो हीदं भगवन्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स्तथागतेऽर्हनसम्यक्संबुद्धो द्रष्टव्यः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नि हि तानि भगवन्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स्तथागतोऽर्हनसमयक्संबुद्धो द्रष्टव्यः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नि हि तानि भगवन्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नितथागतेन भाषितान्य़लक्षणानि तानि भगवंस्तथागतेन भाषितानि ।तेनोच्यंते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त्क्षणानीति ।।

🧚‍♀️🧚‍♀️🧚‍♀️산스끄리뜨 한글 번역 음
바가와나하 따뜨낌 만야세 수부떼 드와뜨림샨마하뿌루샬락챠나이스따타가또'르한 삼약삼붇도 드라스다브야ㅎ? 수부디라하 노 히담 바가완. 드와뜨림샨마하뿌루샬락챠나이스따타가또'르한 삼약삼붇도 드라스따브야ㅎ.
따뜨까스야 헤또ㅎ? 야니 히 따니 바가완 드와뜨림샨마하뿌루샬락챠니 따타가떼나 바시따니, 알락챠나니 따니 바가완스따타가데나 바시따니. 떼노쯔얀떼 드와뜨림샨마하뿌루샬락챠나니띠.

🙏🙏🙏산스끄리뜨 한글 번역
세존이 말했다. 수부띠야, 뛰어난 사람의 서른 두가지 거룩한 모습을 가지고 여래, 응공, 정변지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부띠가 말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위인의 서른 두가지 거룩한 모습을 가지고 여래, 응공, 정변지를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위인의 서른 두가지 거룩한 모습이라는 것은, 세존이시여, 그것은 거룩한 모습이 아니라고 여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인의 서른 두가지 거룩한 모습" 이라고 합니다.

🤲🤲한문 원전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三十二相見如來不不也 世尊 不可以三十二相得見如來 何以故 如來說 三十二相卽是非相 是名三十二相(수보리 어의운하 하이고 삼십이상 견여래부불야 세존 불가이 삼십이상 득견여래 하이고 여래설 삼십이상 즉시비상 시명삼십이상)

👉👉산스끄리뜨 원문 분석
भगवानाह (바가완아하...세존께서 말했다.)।
तत्किं मन्यसे सुभूते(따뜨낌 만야세 수부떼-수부띠야 너의 의견은 어떠하냐?)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स्तथागतोऽर्हन्सम्यक्संबुद्धो(드와뜨링샨/마하뿌루사/락사나이스/따타-가또/아르한/삼약삼붇데..32/대인,위인/상징,모습/여래/응공,아라한/정변지,정등각) द्रष्टव्यः(드라스타비야ㅎ/보다,보아야 한다.) ।सुभूतिराह(수부띠라-하<수부띠/르/아하..수부띠가 말했다. 르는 간투사) ।
नो हीदं भगवन्(नो(노/아니다) हीदं(히담<히/이담..확실히/이다. 이) भगवन्(바가완/세존
)..확실히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स्तथागतेऽर्हनसम्यक्संबुद्धो(드와뜨링샨/마하뿌루사/락사나이스/따타-가또/아르한/삼약삼붇데..32/대인,위인/상징,모습/여래/응공,아라한/정변지,정등각) द्रष्टव्यः (드라스타비야ㅎ/보다,보아야 한다. ) ।तत्कस्य़ हेतोः(따뜨까스야 헤또허/왜냐하면, 그것이 무슨 까닭인가 하면?) । यानि हि तानि भगवन्(야니<야드>/히/따니<따드>/바가완..그것은 참으로)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स्तथागतोऽर्हनसमयक्संबुद्धो(드와뜨링샨/마하뿌루사/락사나이스/따타-가또/아르한/삼약삼붇데..32/대인,위인/상징,모습/여래/응공,아라한/정변지,정등각)द्रष्टव्यः(드라스타비야ㅎ/보다,보아야 한다.) ।तत्कस्य हेतोः(따뜨까스야 헤또허/왜냐하면, 그것이 무슨 까닭인가 하면?) ।यानि हि तानि भगवन्(야니<야드>/히/따니<따드>/바가완..그것은 참으로)
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क्षणानि(드와뜨링샨/마하뿌루사/락사나-니...32가지 위인의 상...니는 중성 복수 주격
)तथागतेन(따타-가떼나/여래는)
भाषितान्य़लक्षणानि(드와뜨링샨/마하뿌루사/락사나-니...32가지 위인의 상.. 니는 중성 복수 주격
)디तानि(따니<따드>/그것은) भगवंस्तथागतेन(바가완스/따타-가떼나..세존/여래) भाषितानि (바-시따/이띠..설하다,말하다/이다)।तेनोच्यंते(떼노쯔야떼..떼나,우쯔야떼/그렇기 때문에)द्वात्रिंशन्महापुरुषलत्क्षणानीति(
드와뜨링샨/마하뿌루사/락사나-니/이띠...32가지 위인의 상...니는 중성 복수 주격/이다
) ।।

👨‍🦲32상/부처님의 신체적 특징
1. 발바닥이 평평한 모습(足下平安立相/족하평야입상)
2. 발바닥에 2개의 바퀴가 있는 모습(足下二輪相/족하이륜상)
3. 손가락이 긴 모습(長指相/장지상)
4. 발꿈치가 넓고 평평한 모습(足廣平相/족광평상)
5. 손과 발가락에 갈퀴가 있는모습(手足指網相/수족지망상)
6. 손발이 유연한 모습(手足柔軟相/수족유연상)
7. 발등이 복스러운 모습(足跌高滿相/족질고만상)
8. 어깨가 사슴어깨와 같은 모습(伊泥膊相/이니박상)
9. 손이 무릎까지 내려간 모습(正立手摩膝相/정립수마슬상)
10. 말의 성기처럼 성기가 감추어진 모습(陰藏相/음장상)
11. 몸의 넓이와 길이가 같은 모습(身廣長等相/신광장등상)
12. 터럭이 위로 향한 모습(毛生上向相/모생상향상)
13. 모든 구멍에 터럭이 있는 모습(一一孔一毛生/일일공일모생)
14. 몸이 금색으로 된 모습(金色相/금색상)
15. 신체주위에 광채가 빛나는 모습(丈光相/장광상)
16. 더러운 흙이 몸에 묻지 않은 모습(細薄皮相/세박피상)
17. 두 손, 두발, 두 어깨, 정수리가 둥글고 단정한 모습(七處降滿相/칠처강만상)
18. 겨드랑이가 보기 좋은 모습(兩腋下降滿相/양액하강만상)
19. 상체가 사자같은 모습(上身如師子相/상신여사자상)
20. 똑바로 선 모습(大直身相/대직신상)
21. 어깨가 둥근 모습(肩圓好相/견원호상)
22. 40개의 이가 있는 모습(四十齒相/사십치상)
23. 이가 가지런한 모습(齒齊相/치제상)
24. 어금니가 흰 모습(牙白相/아백상)
25. 사자 같은 얼굴모습(師子顔相/사자안상)
26. 맛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모습(味中得上味相/미중득상미상)
27. 혀가 긴 모습(大舌相/대설상)
28. 가장 아름다운 목소리(梵聲相/범성상)
29. 연꽃같은 눈(眞靑眼相/진청안상)
30. 소 같은 눈시울을 가진 모습(牛眼腱相/우안건상)
31. 주먹같은 육계가 있는 모습(頂髮相/정발상)
32. 이마 중간에 흰털이 있는 모습(眉間白毛相/미간백모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