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스끄리뜨(범어) 금강경/제13장

뒤로 가는 금강경 공부 13-1

by 돛을 달고 간 배 2025. 2. 5.
반응형

13-1

💚 산스끄리뜨 원문
एवमुक्त आयुष्मान्सुभूतिर्भगवंतमेतदवोचत् ।
को नामायं भगवन्धर्मपर्यायः कथं चैनं धारयामि ।
एवमुक्ते भगवानायुष्मंतं सुभूतिमेतदवोचत् ।
प्रज्ञापारमिता नामायं सुभूते धर्मपर्यायः ।
एवं चैनं धारय ।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व सुभूते प्रज्ञापारमिता तथागतेन भाषिता
सैवापारमिता तथागतेन भाषिता ।
तेनोच्यते प्रज्ञापारमितेति ।।


💚 산스끄리뜨 한글 음
에와묵떼 아유스만 수부띠르 바가완따메따다보짣
꼬 나마 아얌 바가완 다르마빠르야야ㅎ,
까탐 짜이남 다라야미?
에와묵떼 바가와나유스만땀 수부띠메따다보잗 쁘라갸빠라미따 나마얌 수부떼 다르마빠르야야ㅎ. 에왐 짜이남 다라야. 따뜨까스야 헤또허? 야이와 수부떼 쁘라갸빠라미따 따타가떼나 바시따, 사이와 아빠라미따 따타가떼나 바시따. 떼노쯔야떼 쁘라갸빠라미떼띠.


💚 산스끄리뜨 한글 번역
이렇게 말하자(앞장에서 말한 부분) 수부띠가 세존에게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을 무엇이라 이를 것이며, 또한 그것을 어떻게 지녀야 하겠습니까? 이와 같이 말하자 세존께서 수부띠에게 말했다. 수부띠야, 이 법문은 쁘라갸빠라미따, 즉 "지혜의 완성"이라 이르고, 또한 이와 같이 수지하라. 왜냐하면 수부띠야, 여래가 지혜의 완성이라 말했지만 그것은 바로 지혜의 완성이 아니라고 여래가 말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혜의 완성이라"이라 말하는 것이다.

💚 한문 원전
爾時 須菩提白佛言 世尊 當何名此經 我等云何奉持佛告 須菩提 是經名爲金剛般若波羅蜜 以是名字 汝當奉持所以者何 須菩提 佛說般若波羅蜜 卽非般若波羅蜜(이시 수보리 백불언 세존 당하명차경 아등운하봉지 불고 수보리 시경명위 금강반야바라밀 이시명자 여당봉지 소이자하 수보리 불설반야바라밀 즉비반야바라밀)

💚 산스끄리뜨 원문 분석
एवमुक्त(에와묵떼<에왐/욱떼-이와 같이/말하다) आयुष्मान्सुभूतिर्भगवंतमेतदवोचत्(아유수만/수부떼르/바가완땀/에따드/아보짜드-장로/수부띠/세존/이렇게/여쭈다) ।को(꼬-무엇) नामायं(나마/아얌<이담- 나마👉이름/아얌👉이,이것) भगवन्धर्मपर्यायः(바가완/다르마빠르야-야ㅎ-세존/법문)कथं(까탐-어떻게) चैनं(짜이남<짜/에남-그리고/이것을) धारयामि(다-라야-미-마음에) ।एवमुक्ते (에와묵떼<에왐/욱떼-이와 같이/말하다) भगवानायुष्मंतंभूतिमेतदवोचत्(아유수만/수부떼르/바가완땀/에따드/아보짜드-장로/수부띠/세존/이렇게/여쭈다 ) ।प्रज्ञापारमिता(쁘라갸-빠-라미따-지혜의 완성) नामायं(나마/아얌<이담-나마👉이름/아얌👉이, 이것) सुभूते(수부떼-수부띠) धर्मपर्यायः(다-라야-미-마음에) । एवं(에왐-이와 같이) चैनं(짜이남 <짜/에남 <에나드- 그리고/이것을)
धारय(다라야-수지하다, 보존하다, 유지하다, 간직하다,사역형명령법2단) ।
तत्कस्य हेतोः(따뜨까스야 헤또ㅎ-왜냐하면, 무슨 까닭인가 하면) ।यैव(야이와<야/에와-그, 누구/참으로, 실로) सुभूते(수부떼/수부띠) प्रज्ञापारमिता (쁘라갸-빠-라미따-지혜의 완성)तथागतेन(따타-가떼나-여래에 의해) भाषिता(바-시따/설해지다) सैवापारमिता(사이와/아빠-라미따-/사>에와..그,그것/실로, 참으로/완성이 아닌 ) तथागतेन भाषिता(따타-가떼나/바-시따-/여래에 의해 설해졌다) ।तेनोच्यते(떼노쯔야떼<떼나/우쯔야떼-그러므로/말하기를, 그렇기 때문에) प्रज्ञापारमितेति(쁘라갸-빠-라미떼띠<쁘라갸-빠-라미따/이띠-지혜의 완성/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