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대학 중용

중용中庸-제13장

by 돛을 달고 간 배 2024. 2. 13.
반응형



子日"道不遠人, 人之爲道而遠人,不可以為道。
詩云:伐柯
자왈:"도불원인, 인지위도이원인, 불가이위도.
시운:벌가

伐柯,其則不遠. 執柯以伐柯, 睨而視之,猶以為遠。故君子以人治人,
벌가,기즉불원, 집가이벌가, 예이시지, 유이위원. 고군자이인치인
改而上. 忠恕違道不遠, 施諸己而不願,亦勿施於人
개이상. 충서위도불원,  시저기이불원, 역물시어인

君子之道四 丘未能一焉 所求乎子以事父"未能也;所求乎臣
군자지도사 구미능일언 소구호자이사부 미능야 소구호신
以事君,未能也;所求乎弟以事兄,未能也:所求乎朋友先施之,
이사군 미능야 소구호제이사형 이능야 소구호붕우 선시지
未能也。庸德之行然庸言之謹有所不足不敢不勉有餘?
미능야 . 용덕 지행 용언지근 유소부족 불감 면불 유여
不敢盡言顧行君子胡不慥慥邇
불감진 언고행 군자호부조조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용의 도는 결코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만약 어떤 사람이 도를 행하면서 오히려 사람에게서 멀어
진다면, 그것은 중용의 도라고 할 수가 없다. [시경]에서 말했다. '나뭇가지 잘라 도낏자루 만드는데, 나뭇가지 잘라 도낏자루 만드는데/
도낏자루의 좋은 본보기가 눈앞 가까이에 있구나.' 대개 사람들은 도낏자루를 잡고서 나뭇가지를 잘라 새로운 도낏자루를 만들려고 하면서, 그저 곁눈질만 할 뿐 손에 잡은 도낏자루를 제대로 보지도 않고 오히려 도낏자루 견본이 멀리 다른 데에 있다고 여긴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와 달리 사람이 본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도리로 사람을 다스리며, 사람들이 잘못을 고치면 그제야 그만둔다.  사람이 충(忠)과서(恕)를 행할 수 있으면 중용의 도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나니, 다른 사람이 나에게 가(加)하기를 원치 않는 것은 나 역시 다른 사람에게 가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군자의 도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나는 그 가운데 한 가지도 잘하지못한다. 첫째, 윤리 도덕상 자식에게 요구하는, 효도를 다하는 마음으
로 부모님을 모시는 것인데, 나는 아직 잘하지 못한다.
둘째, 윤리 도덕상 신하에게 요구하는, 충성을 다하는 마음으로 임금님을 섬기는
것인데, 나는 아직 잘하지 못한다.
셋째, 윤리 도덕상 아우에게 요구하는, 공경을 다하는 마음으로 형을 받드는 것인데, 나는 아직 잘하지못한다.
넷째, 윤리 도덕상 벗과 벗 사이에 요구하는, 내가 먼저 벗에게 신의를 다하는 것인데, 나는 아직 잘하지 못한다. 모름지기 군자는
평범한 덕을 성실히 행하고 평범한 말을 삼가서 해야 할 것인바, 행할덕에 부족한 바가 있다면 감히 더욱 힘써 뒤지 않을 수 없고, 할 말이
넘치더라도 함부로 다 말하지는 않아야 한다. 따라서 말을 할 때에는 그대로 실행할 수 있을지 없을지를 생각하고, 행동을 할 때에는 자신
이 말한 대로 할 것을 생각한다면, 군자가 어찌 충직하고  독실하지 않겠는가?"

■원(遠 )멀리 떨어침
■지(之): 어조사.
■ 벌가(伐柯) 도낏자루로  나뭇가지를 자를, 또는 나뭇가지를 잘라 도낏자루를
만듦. '벌'은 범, 자름. '가'는 도껏자루
■ 칙(則): 법칙. 여기서는 도낏자루의 견본. 본보기를 이름. 이는 곧 현재 손에 잡고
있는 도끼의 자루를 두고 하는 말임.
■불원(不遠): 멀리 있지 않음. 곧 가까이에 있음을 이름.

■집(執) 잡음.
■예(睨)홀겨봄, 곁눈질함. 곧 바로 보지 않음, 제대로 보지 않음을 이름.
■이위(以爲) ~라고 여김, 생각함.
■ 이인치인(以人治人): 인도(人道)로 사람을 다스림. 곤 사람이 본디 타고난, 천부의
도리와 품성으로 사람의 행실을 다스림을 이름
■충서(忠恕)~ 유가의 도덕 윤리 사상으로, 주자가 이른 대로 '충'은 자신의 마음을 다하는 것이요, '서'는 자신의 마음을 미루어 남에게 미치는, 즉 남의 마음을 헤아리고 배려하는 것임, '충서'는 곧 공자 사상의 핵심 개념인 '인(仁)을 실천하는 근본적인 방법임.
■위도(違道): 중용의 도를 벗어남. 곧 중용의 도에서 빗어난 거리를 두고 이름. 위'는 위배함, 어긋남, 벗어남 .
■ 시(施) 가(加) 와 같음, 가함, 더함.
■諸(저): 지어(之於)의 합음자.
■ 물(勿): ~하지 마라.
■군자지도사(君子之道四): 군자의 도 네 가지. 관 중용의 도를 받들어 추구하는군자가 마땅히 실행.실천해야 할 네 가지 도덕규범으로,
■구(丘): 공자의 이름. 곧 공자가 자신을 스스로 일컬은 말임.

■소구호자이사부(所求乎子以事父)
자식에게 요구하는 바로써 부모님을 모심. 곧 윤리 도덕상 자식에게 잘하기를 요구
하고 바라는, 효(효도:효성)를 다하는 마음과 자세로 부모님을 모심을 이류. '호'
는 어효와 같음. ~에게. '사'는 섬김,모심.
■소구호신(所求乎信)~ 신하에게 요구하는 바. 곧 충변, 즉 임금에 대한 신하의 충성을 이름.
■소구호제(所求乎弟)~아우에게 요구하는 바. 곧 제弟 즉 형에 대한 아우의 공경을 이름.
■소구호붕우(所求乎朋友) 벗에게 요구하는 바. 곧 신, 즉 벗과 벗 사이의 신의를 이름.
■용덕(庸德) 평범한 덕:덕행. '용'은 평범한, 즉 뛰어나거나 색다른 점 없이 보통임, 또는 일상적임.
■행(行): 행함. 곧 주자가 말했듯이, 그 실질을 실천함을 이름.
■ 근(謹): 삼감. 곧 주자가 말했듯이, 그 여럿 가운데서 가미한 것을 구별해 고름
을이름.
■유소부족(有所不足): 부족한 바가 있음. 주자에 따르면, 이는 '용덕'의 '덕'을 이르는 것으로 이해됨,
■유여(猶餘)여유가 있음, 주자에 따르면, 이는 '용언'의 '언'을 이르는 것으로 이
해되므로, 곧 할(하고 싶은) 말이 넘친다는 뜻으로 풀이된.

■진(盡): 다함. 곧 말을 하고 싶은 대로 (조심성 없이 ) 다함을 이름.
■언고행(言顧行): 말을 함에 행동을 돌아봄. 곧 말을 할 때는 그(말하는)대로 실행할 수 있을지 없을지를 생각해야 함을 이름. '고'는 돌아볼. 곧 그러게 생각함을 이름.
■행고언(行顧言)행동을 함에 말을 돌아봄. 곧 행동을 할 때는 말한 대로 할 것을 생각함을 이름.
■호(胡)하(何)와 같음 어찌, 어떻게.
■조조이(조조爾)충직하고 독실한 모양. '이'는 연(淵)과 같이 형용사나 부사의 접미어.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대학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제15장  (0) 2024.02.17
중용中庸-제14장  (2) 2024.02.15
중용(中庸)-제12장  (4) 2024.02.12
중용中庸-11장  (1) 2024.02.11
중용中庸-제10장  (1) 2024.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