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尼日(중니 왈);"君子中庸(군자중용), 小人反中庸(소인반중용).
君子之中庸也(군자지중용야),
君子而時中(군자이시중);
小人之反中庸也(소인지반중용야), 小人而無忌
憚也(소인이무기탄야)."
제2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언행은 중용의 도에 들어맞고,
소인의 언행은 중용의 도에 어긋난다.
군자의 언행이 중용의 도에 들어 맞는 것은
군자는 언제 어디서나 그에 맞게 적중과 조화를 추구하기 때문이요,
소인의 언행이 중용의 도에 어굿나는 것은
소인은 언제 어디서나 기탄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기 때문이다.
尼日(중니 왈)~공자 가라사대, 공자의 자가 중니이다.
君子中庸(군자중용)~儒者가 지켜야 할 최고의 도덕적 덕목으로 "中"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고, 모자람도 없는 最適中의 상태를 의미하고,
"庸"은 평범하면서도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도리나 이치를 이르며, 이는 유자가 지향해야 할 수양의 최선점을 얘기하는 것이다.
小人反中庸(소인반중용)~소인은 정치적 지위나 신분이 낮은 일반 백성을 일반적으로 지칭하지만, 도덕적 수양이 덜 된 이를 뜻하기도 한다.
반反~반은 위반, 어김.
君子之中庸也(군자지중용야)~군자의 행위가 중용의 도에 부합하는 것은
君子而時中(군자이시중)~시중은 언제 어디서나.
중中(지우치거나 모자람이 없음)에 즉, 적중과 조화에 들어맞기 때문이다.
小人之反中庸也(소인지반중용야)~소인이 중용의 도에 어긋남이 있는 것은
小人而無忌憚也(소인이무기탄야)~무기탄은 망설이거나, 두려움이 없는. 소인은 어디서나 함부로 행동하기 때문이다.
**중용의 도는 도덕적 수양의 결과로 나타나게 되는데 최선의 조화로움에 이를 때 이른 군자라고 하나 도덕적 함양과는 별개로 사리사욕만을 추구한다면 이는 소인이라 할 것이다.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대학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中庸-제5ㆍ6장 (0) | 2024.02.06 |
---|---|
중용 中庸-제 3ㆍ4장 (2) | 2024.02.05 |
중용中庸-제1장 (0) | 2024.02.03 |
대학/전문傳文.10-4 치국 ㆍ평천하 (2) | 2024.01.23 |
대학/전문傳文 10-3 치국ㆍ평천하 (4)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