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14장 헌문(憲問)5 헌문(憲問)-5 14-41 자로 숙어석문 신문 왈 해자 자로 왈 자공씨 왈시지기불가이위지자여 子路 宿於石門 晨門 曰 奚自 子路 曰 子孔氏 曰是知其不可而爲之者與 1. 자로가 석문에서 유숙하였는데, 새벽에 문을 여는 사람이" 어디에서 왔는가?" 라고 묻자, 자로는 " 공자에게서 왔습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그는 " 할 수 없는 줄 알면서도 하는 사람 말인가?" 라고 하였다. 14-42 자격경어위 유하궤이과공씨지문자왈 유심재 子擊磬於謂 有荷篑而過孔氏之門子曰 有心哉 1. 공자가 위나라에서 경쇠를 두드렸는데, 삼태기를 메고 공자의 문 앞을 지나가는 사람이 듣고서 말하였다. " 마음이 천하에 있구나," 격경호 기이왈비재 경경호 막기지야 사이이이의 심즉려 천즉게 자왈 과재 말지난의 擊磬乎 旣而曰鄙哉 硜硜乎 莫己知也 斯已而已矣 心則.. 2021. 5. 22. 헌문(憲問)-4 14-31 자공 방인 자왈 사야 현호재 부아즉불가 子貢 方人 子曰 賜也 賢乎哉 夫我則不暇 1. 자공이 사람을 비교하니, 자왈. "자공은 현명한가 보다. 나는 그럴 겨를이 없다." 14-32 자왈 불환인지불기지 환기불능야 子曰 不患人之不己知 患其不能也 1. 자왈. " 남이 나를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이 능하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14-33 자왈 불역사 불억불신 억역선각자 시현호 子曰 不逆詐 不億不信 抑逆先覺者 是賢乎 1. 자왈. " 남이 나를 속일까 미리 생각하지 않고, 남이 나를 믿어 주지 않을까 억측하지 않지만, 또한 먼저 깨닫는 사람이 현명하다." 14-34 미생묘 위공자왈 구 하위시서서자여 무내위녕호 공자왈 비감위녕야 질고야 微生畒 謂孔子曰 丘 何爲是栖栖者與 無乃爲佞乎 孔子曰 非.. 2021. 5. 21. 헌문(憲問)-3 14-21 자왈 기언지부작 즉위지야난 子曰 其言之不作 則爲之也難 1. 자왈. "말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면 실천하기 어렵다." 14-22 진성자 시간공 공자 목욕이조 고어애공왈 진항 시기군 청토지 공왈 고부삼자 陳成子 弑簡公 孔子 沐浴而朝 告於哀公曰 陳恒 弑其君 請討之 公曰 告夫三子 1. 진성자(제나라의 대부, 진항)가 간공(제나라의 임금)을 시해하자, 공자가 목욕하고 조회하여 애공에게 고하였다." 진항이 그 군주를 시해하였으니, 토벌하소서." 애공이 말하였다. " 저 삼자에게 말하라." 공자왈 이오종대부지후 불감불고야 군왈 고부삼자자 지삼자 고 불가 공자왈 이오종대부지후 불감불고야 孔子曰 以吾從大夫之後 不敢不告也 君曰 告夫三子者 之三子 告 不可 孔子曰 以吾從大夫之後 不敢不告也 1. 자왈. " 내가 .. 2021. 5. 19. 헌문( 憲問)-2 14-11 자왈 빈이무원 난 부이무교 이 子曰 貧而無怨 難 富而無驕 易 1. 자왈. " 가난하면서 원망이 없기는 어렵고, 부자지만 교만이 없기는 쉽다." 14-12 자왈 맹공작 위조위로즉우 불가이위등설대부 子曰 孟公綽 爲趙魏老則優 不可以爲藤薛大夫 1. 자왈. " 맹공작(노나라 대부)이 조씨와 위씨 집안(진나라의 경으로 제후국)의 우두머리가 되기엔 충분하지만, 등나라와 설나라의 대부가 될 수는 없다." 14-13 자로문성인 자왈 약장무중지지 공작지불욕 변장자지용 염구지예 문지이예악 역가이위성인의 子路問成人 子曰 若臧武仲之知 公綽之不欲 卞莊子之勇 冉求之藝 文之以禮樂 亦可以爲成人矣 1. " 자로가 온전한 이에 대해 묻자, 자왈. " 만일 장무중( 노나라 대부 장손흘) 의 지혜와 공작의 탐욕의 없음과 변장자( .. 2021. 5. 1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