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절 순례/충청의 사찰

마애사 마애불상/속리산법주사마애불67/68

by 돛을 달고 간 배 2006. 4. 9.
반응형




속리산 법주사 마애불

추래암(墜來岩) 암벽에 새겨진 고려시대 불상으로 보물 제216호로 지정되어 있다.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으로 불리는데 의상(倚像)이란 원래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의자 대신에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마애불로서 이러한 예는 경주 남산의 삼화령 미륵불이 유일한 작품인데 그 양식상의 특징과 연관지어 미륵불로 추정되고 있다.

조각상의 전체 높이는 5m이다. 머리에 불룩한 나발이 있고 목에 삼도가 표현되었다. 상호는 치켜 올라간 눈 꼬리, 정면을 향한 도식적 귀, 작은 입과 더불어 군살이 보이는 턱의 모습으로 인해 정교함이 부족하다. 두 손은 가슴까지 들어 전법륜인(轉法輪印)을 취하였다. 다리는 연화대좌 위에 걸쳤는데 한껏 벌리고 않은 모습이 부자연스럽다. 전체적으로 보면 머리로부터 어깨·팔·무릎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평면적이고 거칠게 조각하였다. 이렇듯 현실성이 부족한 조각이지만 얼굴에는 은은한 미소를 머금고 있어 추상적 아름다움을 느끼게도 한다.

마애여래의상 왼쪽 아래에 2개의 또 다른 조각이 있는데, 그 하나는 짐을 싣고 있는 말[馬]과 그 말을 끌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음각한 것이다. 이는 창건주 의신 조사가 인도에서 경전을 싣고 돌아와 법주사를 창건했다는 설화를 도설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다른 하나는 말 앞에 무릎 꿇고 앉은 소[牛]의 모습이다. 절의 중흥조 진표 율사가 금산사에서 나와 법주사로 가는 도중에 한 소가 진표 율사에게 무릎 꿇고 경의를 표했다는 설화를 나타냈다고 한다.

마애여래의상 북쪽 벼랑에는 또 다른 마애불이 새겨져 있다. 심하게 마멸되어 정확히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어떤 대좌에 앉아 있는 의상(倚像)의 모습이다. 왼손에는 지장보살이 지니는 특유의 여의주가 새겨져 있어 지장보살로 추정된다. 상호의 표현과 옷자락의 모양 등으로 미루어 마애여래의상과 동시대인 고려 초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암각의 지장보살은 바로 마애미륵불의 출현을 기다리며 수행하는 모습으로 새겼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함안 마애사 마애불(방어산마애불)(보물159호)

방어산 절벽에 새겨진 마애약사삼존불입상으로 통일신라 애장왕 2년(801)에 만든 것이다.

본존은 왼손에 약그릇을 들고 있어서 약사여래상임을 알 수 있으며 얼굴이 타원형으로 길게 표현되었다. 어깨는 거대한 몸에 비해 좁게 표현되었고, 힘없이 표현된 신체에서는 긴장감을 느낄 수 없다. 이는 불상 양식이 8세기의 긴장감과 활력이 넘치던 이상적 사실주의 양식에서 현실적인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양쪽의 협시보살은 모두 본존을 향하여 자연스럽게 서 있다. 왼쪽은 일광보살로 남성적인 강렬한 인상이고, 오른쪽은 월광보살로 눈썹사이에 달무늬가 새겨져 있다.

언제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글이 새겨져 있어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으며, 통일신라 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작품이다.

반응형

'우리절 순례 > 충청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암사-72  (7) 2006.04.21
정방사를 찿아-71  (8) 2006.04.16
보석사-51  (1) 2005.11.19
칠갑산 정혜사-43  (0) 2005.08.23
칠갑산 장곡사-42-2  (2) 2005.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