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자위공야장 가처야 수재루설지중 비기죄야
子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縷洩之中 非其罪也
이기자 처지 자위남용 방유도 불폐 방무도
以其子 妻之 子謂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면어형륙 이기형지자 처지
免於刑戮 以其兄之子 妻之
1. 子이 공야장을 닐아사대 可히 妻해 얌즉하도다. 비록 루설 人중에 이시나 그 罪이 아니라 하시고 그 子로써 妻하시다.
子이 남용을 닐아사대 나라히 道히 이솜애 廢티 아니하며 나라히 道히 업솜애 형륙에 면하리라 하시고 그 형의 자로써 妻하시다.
2. 공야장은 공자의제자.성은 공야, 이름은 장.
3. 누설은 검은 노끈으로 묶이는것으로, 구속이나 감금을 의미.
5-2
자위자천 군자재 약인 노무군자자 사언취사
子謂子賤 君子哉 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1. 子이 子賤을 닐아사대 군자인디라 이러뜻 한사라이여, 노에 군자이 없으면 어디가서 이를 취하리요.
2. 자천은 공자의 제자
5-3
자공 문왈 사야 하여 자왈 녀 기야 왈하기야 왈 호련야
子貢 問曰 賜也 何如 子曰 女 器也 曰何器也 曰 瑚璉也
1. 자공이 물어 가로대 賜난 어떠하나릿고. 子이 가라사대 너난 器也니라. 가로대 어떤 器也잇꼬. 가라사대 瑚며 璉이니라.
2.賜는 자공의 이름
3.호련은 종묘의 제사에 쓰이는 옥으로 만든 제기.
5-4
혹왈 옹야 인이불녕 자왈 언용녕 어인이구급 누증어인
惑曰 雍也 仁而不녕 子曰 焉用녕 禦人以口級 屢憎於人
부지기인 언용녕
不知其仁 焉用녕
1. 或이 가로대 雍은 仁하고 녕티 못하도다. 자왈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 사람들에게 말로만 응답하다가 자주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는 것이니, 그가 어진가는 알지 못하지만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
2. 옹은 공자의 제자, 성은 염. 자는 중궁.
5-5
자사칠조개 사 대왈 오사지미능신 자열
子使漆雕開 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
1. 子이 칠조개로 하여금 벼슬하게 하니, "제가 이것을 아직 자신할 수 없습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子이 기뻐하였다.
2. 칠조개는 공자의 제자.
출처: https://48324ksj.tistory.com/entry/公冶長공야장 [파도결속의 동백]
5-6
자왈 도불행 승부 부유해 종아자 기유여
子曰 道不行 乘桴 浮于海 從我者 其由與
1.子曰. "도가 행해지지 앉기 때문에 뗏목을 타고 바다에 뜨려 하는데, 나를 따라올 사람은 아마도 子路일 것이다."
2.유는 자로의 이름.
자로문지 희 자왈 유야 호용 과아무소취재
子路聞之 喜 子曰 由也 好勇 過我 無所取才
1. 子路가 듣고 기뻐하니, 子曰. "子路는 용맹을 취하는 것이 나보다 나으나, 재목을 취할 것이 없다."
5-7
맹무백 문 자로 인호 자왈 부지야
우문 자왈 유야
孟武伯 問 子路 仁乎 子曰 不知也 又問 子曰 由也
1. 맹무백이 물었다. "子路는 어집니까?" 子曰. "알지 못하겠습니다." 또 물으니, 子曰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구야하여
千乘之國 可使治其賦也 不知其仁也 求也 何如
1." 子路는 일천 수레를 지닌 제후의 나라에서 그 군대를 다스리게 할 수 있으나 그가 어진지는 알지 못하겠습니다."그럼 염구(求)는 어떻습니까?"
자왈 구야 천실지읍 백승지가 가사위지재야
부지기인야 적야 하여
子曰 求也 千室之邑 百乘之家 可使爲之宰也
不知其仁也 赤也 何如
1.자왈. 염구는 일천가구의 읍과 일백 수레를 지닌 대부의 집에서 일꾼의 우두머리가 되게 할 수 있으나, 그가 어진지는 알지 못하겠습니다." "그럼 공서적은 어떻습니까."
자왈 적야 속대립어조 가사여빈객언야
부지기인야
子曰 赤也 束帶立於朝 可使與賓客言也
不知其仁也
1. 子曰. "공서적은 띠를 띠고서 조정에 서서 다른 나라의 외교사절과 말하게 할 수는 있으나, 그가 어진지는 알지 못하겠습니다."
2. 적은 공자의 제자. 성은 공서, 이름은 적
3.속대는 띠를 두른다는 뜻으로 예복을 갖춤.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5장 공야장(公冶長)'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야장(公冶長)-4 (0) | 2021.04.17 |
---|---|
공야장(公冶長)-3 (0) | 2021.04.12 |
공야장(公冶長)-2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