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71

석보상절(釋譜祥節) 제 一 月印千江之曲 <其 一 / 其 八>-8 후에 보광불(普光佛)이 멸도(滅度)〔滅은 없다는 말이고, 度는 건넌다는 말이니, 비어서 하나도 없어 세간 밖에 건너 나시는 것, 즉 출세간으로 향하는 것, 그것이 열반이니, 열반은 고요하고 적정하므로 마음을 맑게 하시어 아뭇것도 없이 비우시어 ,살지 아니하시며 죽지 아니하시어(不生不滅)편안케 되신다는 말이다.-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난다는 말이다.〕선혜비구〔善慧比丘〕가 정법(正法)을 호지(護持) 하시어〔比丘는 중이다.-비구는 남자 스님, 비구니는 여자스님.〕二만년 사이에〔이는 둘이다.〕중생 제도함을 이루 헤아리지 못하시게 하고 명종(命終)하여〔命終은 목숨 마친다는 말이다.〕사천왕이 되시어〔사천왕은 네 천왕이니, 동방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남방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방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방의 다문.. 2005. 3. 19.
석보상절(釋譜祥節) 제 一 月印千江之曲 <其 一 / 其 八>-7 그 때에 선혜가 보광여래 부처님께 가서 출가(出家)하시어 세존께 아뢰되,〔출은 나간다는 말이고, 가는 집이니 나가 머리를 깎는다는 말이다. 또한 세존은 세상에서 존귀한 분으로 부처님의 딴 말이다.〕「제가 어제 다섯가지 꿈을 꾸니, 하나는 바다에 누우며, 둘은 수미산(須彌山)을 베고, 〔수미는 가장 높다는 말이다.〕셋은 중생들이 내 몸 안에 들고, 넷은 손에 해(太陽)를 잡으며, 다섯은 손에 달을 잡으니, 부처님이시여, 나를 위해 말씀해주소서」부처님이 이르시되,「바다에 누운 것은 생사의 바다에 있는 모양이요, 수미산을 벤 일은 생사를 벗어날 징조이며, 해를 잡음은 지혜를 널리 비칠 징조이고,달을 잡은 것은 밝고 분수에 맞는 도리로 중생을 제도하여 더운 번뇌(煩惱)를 여의게 할 징조이니,〔더운 번뇌는 번뇌가.. 2005. 3. 15.
「金鰲新話」와 「九雲夢」의 비교연구― 思想의 흐름을 中心으로 ― 「金鰲新話」와 「九雲夢」의 비교연구― 思想의 흐름을 中心으로 ― Ⅰ. 들어가며 梅月堂 金時習과 西浦 金萬重 兩人은 시대의 거리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사점을 共有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첫째로 그들의 代表作으로 들고 있는 「金鰲新話」나 「九雲夢」이 現實의 벽을 뛰어 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새로운 秩序에 挑戰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둘째는 소설의 思想的인 흐름으로 般若空의 佛敎, 主氣論에서의 性理學을 그 基底에 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金鰲新話」의 경우 心儒迹佛한 梅月堂 金時習의 面貌대로 楊州의 수락, 壽春의 사탄, 海上의 설악, 月城의 금오, 등지를 두루 彷徨하다가 無量寺에서 일생을 마친 점을 보더라도 그의 작품 전편에는 儒·佛의 痕迹을 찾아낼 수 있다. 또한 「九雲夢」의 경우를 보.. 2005. 3. 13.
석보상절(釋譜祥節) 제 一 月印千江之曲 <其 一 / 其 八>-6 수기(授記)를 다 하시고〔수기는 너는 아무 때에 부처가 될 것이라고 미리 이르시는 것이다.〕부처 가시는 땅이 질거늘 선혜가 입고 있으시던 녹비(鹿皮)옷을 벗어 땅에 까시고〔녹비는 사슴의 가죽이다.〕머리카락을 펴 덮으시니까, 부처님이 밟고 지나시고 또 예언하시되, 「너는 후에 부처가 되어 오탁(五濁)악세(惡世)에 〔탁은 흐린다는 말이고, 악은 모질다는 말이다. 오탁은 겁탁(劫濁) 견탁(見濁) 번뇌탁(煩惱濁) 중생탁(衆生濁) 명탁(命濁)이니, 본래 맑은 성(性)에 흐린 마음이 일어남이 탁이다. 겁은 죄업(罪業)을 일으킨다는 말이다. 견은 본다는 말이니, 비뚤게 본다는 말이다. 번은 많은 것이고, 뇌는 어지럽힌다는 말이다. 죽으며 살며 하여 윤회함이 중생탁이다. 목숨을 여의지 못함이 명탁이니, 명은 목숨이다... 2005.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