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12장 안연(顔淵)6

안연(顔淵)-6 12-22 번지 문인 자왈 애인 문지 자왈 지인 樊遲 問仁 子曰 愛人 問知 子曰 知人 1. 樊遲이 仁을 뭇자온대 子曰 사람을 사랑함이니라. 知랄 뭇자온대 子曰 사람을 알옴이니라. 2.번지가 인에 대해묻자, 자왈.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 앎에 대해 묻자, 자왈. "사람을 아는 것이다" 번지 미달 자왈 거직조저왕 능사왕자직 樊遲 未達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1. 번지는 達티 못하거늘 子曰 直한 이랄 擧하고 모든 枉한이랄 錯하면 能히 枉한이로 하여곰 直게 하나니라. 2. 번지가 알아듣지 못하자, 자왈."정직한 사람을 들어서 굽은 사람 위에 두면 굽은 사람을 정직하게 할 수 있다." 번지퇴 견자하왈 향야 오현어부자이문지 樊遲退 見子夏曰 鄕也 吾見於夫子而問知 1.樊遲이 믈러 子夏를 보와 가로대 아래내 .. 2021. 1. 12.
안연(顔淵)-5 12-19계강자 문정어공자 왈 여살무도 이취유도 하여 季康子 問政於孔子 曰 如殺無道 以就有道 何如 1. 季康子이 政을 孔子께 묻자와 가로대 道업슨이를 殺하여써 道있는데 就하게 할댄 어떠하난잇고. 2.계강자가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물었다. "만일 무도한 자를 죽여서 도가 있는 데로 나아가게 하면 어떻습니까?" 공자대왈 자위정 언용살 자욕선 이민선의 孔子對曰 子爲政 焉用殺 子欲善 而民善矣 1. 孔子이 대하여 가라사대 子이 政을 함에 엇디 殺을 쓰리오. 子이 어딜고저 하면 民이 어딜리니. 2.공자 왈. 그대가 정치를 하면서 어찌 죽이는 일을 하겠습니까? 그대가 선을 하고자 하면 백성들은 선해지는 것이니 군자지덕 풍 소인지덕 초 초상지풍 필언 君子之德 風 小人之德 草 草上之風 必偃 1.君子의 德은 바람이요. 小.. 2021. 1. 11.
안연(顔淵)-4 12-12 자왈 편언 가이 절옥자 기유야여 자로 무숙락 子曰 片言 可以 折獄者 其由也與 子路 無宿諾 1.子이 가라사대 片言에 可히 써 獄을 折할 者난 그 由인더, 子路는 諾을 宿함이 없더라. 2. 子曰, " 한 마디 말로 송사를 판결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도 자로일 것이다. 자로는 다음날로 송사를 미루는 일이 없었다." 12-13 자왈 청송 오유인야 필야사무송호 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1. 子曰 訟을 聽함이 내 사람과 같아, 나 반드시 하여곰 訟을 없게 하련다. 2.자왈 " 송사를 판결하는 것은 나도 남과 같으나 반드시 소송이 없도록 하겠다." 12-14 자장 문정 자왈 거지무권 행지이충 子張 問政 子曰 居之無倦 行之以忠 1. 子張이 政을 뭇자온대 子曰 居하욤을 倦함이 없으며, 行하대 忠으로써 .. 2021. 1. 9.
안연(顔淵)-3 12-8 극자성 왈 군자 질이이의 하이문위 棘子成 曰 君子 質而已矣 何以文爲 1.棘子成이 가로대 君子난 質일 따름이니 엇디 써 文을 하리오. 2.극자성이 말하였다. "군자는 바탕일 뿐이니, 꾸밈을 어디에 쓰겠는가?" 자공 왈 석호 부자지설군자야 사불급설 子貢 曰 惜乎 夫子之說君子也 駟不及舌 1.子貢이 가로대 惜하다. 夫子의 말씀이 군자이. 駟도 舌에 밋디 못하리로다. 2.애석하다. 선생이 군자를 설명한 말이여?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도 혓바닥을 따라 잡지는 못하는 것이다 문유질야 질유문야 호표지곽 유견양지곽 文猶質也 質猶文也 虎豹之鞹 猶犬羊之鞹 1.文이 質가트며 質이 文가트니 虎豹의 鞹이 犬羊의 鞹 가트니라. 2.꾸밈이 바탕과 같으며, 바탕이 꾸밈과 같은 것이니, 호랑이와 표범의 가죽은 개나 양의 가.. 2021.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