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15장 위령공(衛靈公)4

위영공(衛靈公)-4 15-31 자왈 군자 모도 불모식 경야 뇌재기중의 학야 녹재기중의 군자 우도 불우빈 子曰 君子 謀道 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綠在其中矣 君子 憂道 不憂貧 1. 자왈. " 군자는 도를 도모하고 음식을 도모하지 않는다. 농사를 하더라도 굶주림이 그 가운데에 있고, 학문을 하더라도 봉록이 그 가운데 있다. 군자는 도를 걱정하고 가난을 걱정하지 않는다." 15--32 자왈 지급지 인불능수지 수득지 필실지 지급지 인능수지 부장이리지 즉민불경 지급지 인능수지 장이리지 동지불이례 미선야 子曰 知及之 仁不能守之 雖得之 必失之 知及之 仁能守之 不莊以리之 則民不敬 知及之 仁能守之 莊以리之 動之不以禮 未善也 1. 자왈. " 지혜가 그 지위에 걸맞더라도 인으로 지킬 수 없다면 비록 얻더라도 반드시 잃는다. 지혜가 걸맞으며.. 2021. 5. 11.
위영공(衛靈公)-3 15-21 자왈 군자 긍이부쟁 군이부당 子曰 君子 矜而不爭 群而不黨 1. 자왈. "군자는 긍지를 갖지만 다투지 않으며, 무리를 짓지만 편을 가르지 않는다." 15-22 자왈 군자 불이언거인 불이인폐언 子曰 君子 不以言擧人 不以人廢言 1. 자왈. " 군자는 말을 잘 한다고 해서 그 사람을 들어 쓰지 않으며, 사람이 나쁘다고 해서 그의 좋은 말을 버리지 않는다." 15-23 자공 문왈 유일언이가이종신지자호 자왈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 子貢 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之者乎 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 1. 자공이 " 한마디 말로써 평생토록 실천할 만한 말이 있습니까?" 하고 묻자, 자왈. " 아마도 恕일 것이다. 내가 하기 싫은 일로써 남에게 시키지 말라." 15-24 자왈 오지어인야 수훼수예 여유소예자 기유소.. 2021. 5. 11.
위영공(衛靈公)-2 15-11 자왈 인무원려 필유근우 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1. 자왈. " 사람에게 멀리 생각하는 것이 없으면, 반드시 가까운 근심이 있다. 15-12 자왈 이의호 오미견호덕 여호색자야 子曰 已矣乎 吾未見好德 如好色者也 1. 자왈. " 그만인가 보다! 내가 덕을 좋아하기를 이성을 좋아하듯이 하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15-13 자왈 장문중 기절위자여 지유하혜지현이불여립야 子曰 臧文仲 其竊位者與 知柳下惠之賢而不與立也 1. 자왈. " 장문중은 그 지위를 도적질한 사람일 것이다. 유하혜가 현명한 것을 알고서도 함께 조정에 서지 아니하였으니." 2. 유하혜는 노나라의 대부 15-14 자왈. 궁자후이박책어인 즉원원의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 則遠怨矣 1. 자왈. " 몸소 자기를 꾸짖기를 심하게 하고, 남을 꾸짖기를.. 2021. 5. 10.
위영공(衛靈公)-1 15-1 위영공 문진어공자 공자대왈 조두지사 즉상문지의 군려지사 미지학야 명일 수행 衛靈公 問陳於孔子 孔子對曰 俎豆之事 則嘗聞之矣 軍旅之事 未之學也 明日 遂行 1. 위나라 영공이 공자에게 군대의 진치는 방법에 대해 묻자, 공자는 " 제사에 대한 일은 일찍이 들었지만, 군대에 관한 일은 일찍이 배우지 못해습니다." 라고 하고, 다음날 드디어 떠났다. 재진절량 종자병 막능흥 자로온현왈 군자역유궁호 자왈 군자 고궁 소인 궁사남의 在陳絶糧 從者病 莫能興 子路慍見曰 君子亦有窮乎 子曰 君子 固窮 小人 窮斯濫矣 1. 진나라에 있을 때 양식이 떨어지자, 따르던 사람들이 병들어 아무도 일어나지 못하였다. 자로가 성난 얼굴로 공자를 뵙고, " 군자도 어려울 때가 있습니까?" 라고 묻자, 자왈. " 군자는 본래 어려운 것이.. 2021. 5.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