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13장 자로(子路)

자로(子路)-1

by 돛을 달고 간 배 2021. 1. 24.
반응형

13-1
자로문정 자왈 선지노지 청익 왈 무권
子路問政 子曰 先之勞之 請益 曰 無倦
1. 자로가 정치에 대해 묻자, 자왈."솔선해야 하며 수고해야 한다. " 더 말해 줄 것을 청하자"게으름이 없어야 한다." 고 하였다.

13-2
중궁 위계씨제 문정
仲弓 爲季氏宰 問政
1. 중궁이 계씨의 가신이 되어 정치에 대해 묻자

자왈 선유사 사소과거현재 왈언지현재이거지
子曰 先有司 赦小過擧賢才 曰焉之賢재而擧之
1.자왈. " 실무자에게 모범을 보이고 작은 허물은 용서해주며 현명한 사람과 재주있는 사람을 등룡해어 한다" 어떻게 현명한 사람과 재주있는 사라을 알아 등룡합니까?"
"네가 아는 사람을 등용하면 네가 알지 못하는 사람을 남들이 내버려두겠는가?"

13-3
자로왈 위군 대자이위정 자장해선 자왈 필야정명호
子路曰 衛君 待子而爲政 子將奚先 子曰 必也正名乎
1. 자로가 말하였다." 위나라 임금이 선생님을 맞이하여 정치를 하려고 하십니다. 선생님께서는 장차 무엇을 먼저 하시겠습니까?" 자왈. "반드시 이름을 바로잡겠다. "

자로왈 유시재 자지오야 해기정 자왈 야재 유야 군자어기소부지 개궐여야
子路曰 有是哉 子之迂也 奚其正 子曰 野哉 由也 君子於其所不知 蓋闕如也
1. 자로왈. " 이러하십니다, 선생님이 실정을 모르는 것이! 어떻게 바로 잡으러 하십니까? " 자왈." 촌스럽구나 자로여! 군자는 자기가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말하지 않고 놓아 두는 것이다."

명부정 즉언불순 언불순 즉사불성 사불성 즉예악불흥 예악불흥 즉형벌부중 형벌부중 즉민무소조수족
名不正 則言不順 言不順 則事不成 事不成 則禮樂不興 禮樂不興 則刑罰不中 刑罰不中 則民無所錯手足
1. 이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순조롭지 못하고, 말이 순조롭지 못하면 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예악이 일어나지 못하고, 예악이 일어나지 못하면 형벌이 알맞지 못하고, 형벌이 알맞지 못하면 백성들이 손 발을 둘곳이 없어진다.

고 군자명지 필가언야 언지 필가행야 군자어기언 무소구이이의
故 君子名之 必可言也 言之 必可行也 君子於其言 無所苟而已矣
1. 고로 군자가 이름을 붙이면 반드시 말할 수 있으며, 말 할 수 있으면 반드시 행할 수 있는 것이니, 군자는 그 말에 구차함이 없을 뿐이다."

13-4
번지 청학가 자왈 오불여노농 청학위포 왈오불여노포
樊遲 請學稼 子曰 吾不如老農 請學爲圃 曰吾不如老圃
1. 번지가 곡식을 가꾸는 일을 배우기를 청하자 자왈. "나는 곡식 가꾸는 늙은 농부만 못하다." 채소 가꾸는 일을 배우기를 청하자 자왈. "나는 채소 가꾸는 늙은 농부만 못하다."

번지출 자왈 소인재 번수야
樊遲出 子曰 小人哉 樊須也
1. 번지가 나가자 자왈. 소인이구나, 번지여!

상호예 즉민막감불경 상호의 즉민막감불복 상호신 즉민막감불용정 부여시 즉사방지민 강부기자이지의 언용가
上好禮 則民莫敢不敬 上好義 則民莫敢不服 上好信 則民莫敢不用情 夫如是 則四方之民 襁負其子而至矣 焉用稼
1. 윗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윗사람을 공경하지 않는 이가 없고, 윗사람이 정의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윗사람을 복종하지 않는 이가 없고, 윗사람이 믿음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윗사람을 감히 진실하게 하지 않는 이가 없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방의 백성들이 아이를 포대기에 업고 올 것이니, 어찌 몸소 농사를 지을 필요가 있겠는가?"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13장 자로(子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로(子路)-5  (0) 2021.03.19
자로(子路)-4  (0) 2021.03.13
자로(子路)-3  (0) 2021.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