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5장 공야장(公冶長)

공야장(公冶長)-2

by 돛을 달고 간 배 2021. 3. 29.
반응형

5-8
자위자공왈 여여회야 숙유 대왈 사야 하감망회
子謂子貢曰 女與回也 孰愈 對曰 賜也 何敢望回
1.공자가 자공에게 말하였다."너와 안회 가운데서 누가 나으냐?" 자공이 대답하였다. 제가 어찌 감히 안회를 바라 볼 수 있겠습니까?

회야 문일이지십 사야 문일이지이
回也 聞一以知十 賜也 聞一以知二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압니다."

자왈 불여야 오여여불여야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
1.子曰. "그만 같지 못하다. 나와 너는 그만 같지 못하다"

5-9
재여주침 자왈 후목 불가조야 분토지장 불가오야 어여여 하주
宰予晝寢 子曰 朽木 不可雕也 糞土之牆 不可오也 於予與 何誅
1. 재여가 낮에 침실에 있자, 자왈. "썩은 나무에는 조각을 할 수없으며, 썩은 흙으로 쌓은 담장에는 흙손질을 할 수 없으니, 재여에 대해서 무엇을 꾸짖겠는가?"
2. 주침은 낮잠.

자왈 시오어인야 청기언이신기행
子曰 始吾於人也 聽其言而信其行
1.子曰. " 처음에는 내가 사람에 대하여 그 말을 듣고 행동을 믿었으나,

금오어인야 청기언이관기행 어여여 개시
今吾於人也 聽其言而觀其行 於予與 改是
1. 이제 내가 사람에 대해서 그 말을 듣고 그 행동을 살펴보게 되었으니, 재여 때문에 이를 고치게 되었다."

5-10
자왈 오미견강자 혹 대왈신정 자왈 정야 욕 언득강
子曰 吾未見剛者 或 對曰申정 子曰 정 也 慾 焉得剛
1.子曰. "내가 굳센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어떤 사람이 "신정입니다." 라고 대답하자 자왈. "신정은 욕심이 있으니, 어찌 굳셀 수 있겠는가?"

5-11
자공왈 아불욕인지가저아야 오역욕무가저인
자왈 사야 비이소급야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 吾亦欲無加諸人
子曰 賜也 非爾所及也
1. 자공이 말하였다. "저는 남이 나에게 행하기를 원하지 않는 것을 저 또한 남에게 행하지 않고자 합니다." 子曰. "자공아, 네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2.가저아는 나에게 불의를 행함.

5-12
자공왈 부자지문장 가득이문야 부자지언성여천도 불가득이문야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1.자공이 말하였다."선생님의 문장은 들을 수 있었으나, 선생님이 성과 천도를 말씀하시는 것은 듣지 못하였다."
2. 부자는 공자를 이름.

5-13
자로 유문 미지능행 유공유문
子路 有聞 未之能行 惟恐有聞
1. 자로는 듣고서 실행하지 못하면 오직 또 들을지를 두려워하였다.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5장 공야장(公冶長)'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야장(公冶長)-4  (0) 2021.04.17
공야장(公冶長)-3  (0) 2021.04.12
공야장(公冶長)-1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