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2장 위정(爲政)

위정(爲政)-3

by 돛을 달고 간 배 2021. 1. 2.
반응형

자장 학간록 자왈 다문궐의 신언기여즉과우 다견궐태
子張 學干祿 子曰 多聞闕疑 信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신행기여즉과회 언과우 행과회 녹재기중의
愼行其餘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
1. 자장이 녹을 干홈을 學호려한데, 자왈 해드러<많이 들어> 疑를 闕하고, 그 남으니를 삼가 닐르면 허물이 적으며, 해보와 殆를 闕하고 그 남으니를 삼가 행하면, 뉘웃브미 적나니 言이 허물이 적으며 行이 뉘웃브미 적으면, 祿이 그 가온대 잇나니라.
2. 자장이 봉록을 구하는 방법을 배우려 하차 공자가 말하였다."많이 듣고 의심스러은 부분을 놓아 두고
그 나머지를 삼가서 실행하면 후회하는 일이 적을 것이니
, 말에 허물이 적으며, 실행에 후히하는 일이 적으면 봉녹이 그 가운데 있다.
3. 子張-공자의 제자. 성은 전손. 이름은 師
闕-그대로 놓아 두다. 祿-仕者之奉也.


애공 문왈 하위즉민복
哀公 問曰 何爲則民服
공자 대왈 거직조저왕즉민복 거왕조저직즉민불복
公子 對曰 擧直錯諸枉則民服 擧枉錯諸直則民不服
1. 애공이 묻자와 가라사대 엇디하면 民이 服하나니잇고,
공자 對하여 가라사대 直을 擧하고 모든 枉을 錯하면 民이 服치 아니 하나니이다.
2. 애공이 물었다. "무엇을 행하면 백성이 복종합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곧은 사람을 들어 쓰고 굽은 사람 위에 두면 백성이 따르고, 굽은 사람을 들어 쓰고, 곧은 사람 위에 두면 백성이 따르지 않습니다.
3. 錯(착, 조.)조-놓아 둔다. 애공-노의 임금, 명장.
諸(모두 제, 至於-저)


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季康子問 使民敬忠以勸 如之何
자왈 임지이장즉경 효자즉충 거선이교불능즉권
子曰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1. 계강자가 묻자오데 民으로 하아곰 敬하며 忠하며 써 勤케 호대 어찌하리잇고. 자왈 臨호대 莊으로써 하면 敬하고 孝하며 慈하면 忠하고 善을 擧하고 能티 못하는 이를 가르치면 勤하나니라.
2. 계강자가 물었다. "백성으로 하여금 공경하고 충성스럽게 하며 이것을 권면하게 하려는데,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공자가 말하였다. "엄숙하게 대하면 공경하고, 효도하고 자애하면 충성하고, 잘 하는 사람을 들어 쓰고 잘 못하는 사람을 가르치면 권면될 것입니다.
3. 계강자-노나라 대부 계손씨.



혹위공자왈 자 해불위정 자왈 서운효호
或謂公子曰 子 奚不爲政 子曰 書云孝乎
유효 우우형제 시어유정 시역위정 해기위위정
惟孝 友于兄弟 施於有政 是亦爲政 奚其爲爲政
1. 或이 공자께 닐어 가로대 子난 엇디 政을 하디 아니 하시나니잇고. 자왈 서(서경)에 孝를 일런는데, 孝하며 兄弟에 友하야 政에 베프다 하니 또한 政함이니 엇디하여아 그 政을 하다 하리오.
2. 어떤 사람이 공자에게 말했다. "子께서는 어찌하여 정치를 하지 않습니까?" 자 가라사대 "「서경」에 효를 말하기를 '효도하며 형제간에 우애하여 정치에 베푼다'고 하니, 이것이 또한 정치를 하는 것이다. 어찌하여 벼슬해서 정치하는 것만이 정치이겠는가?"

자왈 인이무신 부지기가야
子曰 因而無信 不知其可也
대차무예 소차무월 기하이행지재
大車無 車兒(예), 小車無 車兀(월) 其何以行之哉
1. 자왈 . 사람이 오 信이 없으면 그 可함을 아디 못게라. 大한車에 끌채 없으며, 小한 車에 끌채 없으면 그 무셔로써 行하리오.
2. 자 왈. " 사람이면서 믿음이 없으면 어찌 사라이겠는가.
큰 수레에 끌채 끝이 없고, 작은 수레에 끌채 끝이 없으면 무엇을 가지고 갈 수 있겠는가?
3. 車兒(예),車兀(월)-수레 끌채의 끝, 말의 멍애.



자장 문십세 가지야
子張 問十世 可知也
자왈 은인어하례 소손익 가지야
子曰 殷因於夏禮 所損益 可知也
주인어은례 소손익 가지야
周因於殷禮 所損益 可知也
기혹계주자 수백세 가지야
其或繼周者 雖百世 可知也
1. 자장이 묻자오대 十世를 可히 알게시니잇가. 자왈.
殷이 夏의 禮에 因하니 損하며 益한바를 可히 알게시며, 周이 殷의 예에 因하니 損하며 益한바를 可히 알게시니,
그 或 周를 니을 者이면 비록 百世라도 可히 알게시니라.
2. 자장이 물었다."십세를 알 수 있습니까?" 子 曰.
"은나라는 하나라의 예를 따랐으니 덜고 더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주나라는 은나라의 예를 따랐으니 덜고 더한 것을 알 수 있다.
혹 주나라를 계승하는 자가 있다면, 비록 백세 뒤의 일이라도 알 수 있다.



자왈 비기귀이제지첨야 견의불위 무용야
子曰 非其鬼而祭之諂也 見義不爲 無勇也
1. 자왈. 그 鬼이 아닌 것을 祭함이 諂이오, 義를 보고 하지 아니홈이 勇이 없음이니라.
2. 자왈. "제사 지낼 귀신이 아닌데 제사 지내는 것은 아첨이고, 옳은 일을 보고서도 하지 않는 것 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출처: https://48324ksj.tistory.com/entry/爲政-3?category=955003 [파도결속의 동백]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2장 위정(爲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정(爲政)-2  (0) 2021.01.02
위정(爲政)-1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