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10장 향당(鄕黨)

향당(鄕黨)-1

by 돛을 달고 간 배 2021. 5. 4.
반응형

10-1
공자어향당 순순여야 사불능언자 기재종묘조정 편편언유근이
孔子於鄕黨 恂恂如也 似不能言者 其在宗廟朝廷 便便言唯謹爾
1. 공자가 고을에 있을 적에는 두려워하여 말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 같았다. 공자가 종묘와 조정에 있을 적에는 또박또박 말을 하면서도 다만 삼갔다.
2. 향당은 고을.
3. 순순여는 두려워하여 떠는 모습.
4. 편편은 분명하고 조리있게 말하는 모습.

10-2
조 여하대부언 간간여야 여상대부언 은은여야
군재 축척여야 여여여야
朝 與下大夫言 侃侃如也 與上大夫言 誾誾如也
君在 踧 如也 與與如也
1. 조정에서 하대부와 말할 적에는 강직하게 하였으며, 상대부와 말할 적에는 온화하게 하였다. 임금이 계실 적에는 조심조심 걸었고 엄숙하게 하였다.
2.간간여는 강직한 모습.
3. 은은여는 온화한 모습

10-3
군 소사빈 색발여야 족확여야
君 召使擯 色勃如也 足확如也
1. 임금이 불러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게 하면 얼굴빛이 붉게 변하며 발걸음을 조심하였다.
2. 발여는 얼굴빛이 붉게 변함.
3. 확여는 조심 조심 걷는.

읍소여립 좌우수 의전후 첨여야 추진 익여야
揖所與立 左右手 衣前後 䄡如也 趨進 翼如也
1. 함께 서 있는 이에게 읍하면서 왼쪽 손을 앞으로 내기도 하고 오른쪽 손을 앞으로 내기도 하였는데, 옷의 앞뒤 자락이 가지런 하였다. 빨리 나아갈 때는 날개를 편 듯 하였다.

빈퇴 필복명왈 빈불고의
貧退 必復明曰 賓不顧矣
1. 손님이 물러가면, 반드시 복명하여 "손님이 돌아보지 않았습니다. " 라고 하였다.

10-4
입공문 국궁여야 여불용 입불중문 행불리역
入公門 鞠躬如也 如不容 立不中門 行不履閾
1. 대궐에 들어 갈 때에는 몸을 굽혀 몸을 용납치 못하는 듯 하였다. 서 있을 때에는 문 가운데 서지 않고, 다닐 때에는 문지방을 밟지 않았다.

과위 색발여야 족확여야 기언 사부족자
過位 色勃如也 足확如也 其言 似不足者
1. 임금의 자리를 지날 적에는 얼굴빛을 붉게 변하게 하고, 발걸음을 조심조심 하며, 말을 잘 할 수없는 사람같았다.

섭자승당 국궁여야 병기 사불식자
攝齊升堂 鞠躬如也 屛氣 似不息者
1. 옷자락을 잡고 마루에 오를 적에 몸을 굽히며, 숨을 죽여 숨을 쉬지 않는 것처럼 하였다.

출강일등영안색 이이여야 몰계 추진익여야 보키위 축척여야
出降一等 영顔色 怡怡如也 沒階 趨進翼如也 復其位 蹜踖如也
1. 나와서 한 층계를 내려서서는 얼굴빛을 펴서 온화하게 하며, 층계를 다 내려와서는 빨리 걸어 날개를 편 듯 하며, 자리에 내려와서는 조심조심 걸었다.

10-5
집규 국궁여야 여불승 상여읍 하여수 발여전색 족축축여유순 향례 유용색 사적 유유여야
執圭 鞠躬如也 如不勝 上如揖 下如授 勃如戰色 足蹜蹜如有循 享禮 有容色 私覿 愉愉如也
1. 규(규는 제후가 천자에게서 받는 윗쪽이 뽀죡하고 아래가 네모진 옥)를 잡을 적에는 몸을 굽혀 이기지 못하는 듯이 하였으며, 위로는 읍할 때와 같이 하고, 아래로는 물건을 줄 때와 같이 하며, 얼굴빛을 붉게 변하여 두려워하는 빛을 띠며, 발걸음을 좁고 낮게 하여 땅에 끄는것처럼 하였다. 잔치하는 자리에서는 온화한 얼굴빛을 하며, 사사롭게 만나볼 때에는 화락하게 하였다.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10장 향당(鄕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당(鄕黨)-3  (0) 2021.05.06
향당(鄕黨)-2  (0) 2021.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