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제4장 이인(里仁)

이인(里仁)-1

by 돛을 달고 간 배 2021. 1. 2.
반응형

4-1.
자왈 리인 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子曰 里仁 爲美 擇不處仁 焉得之
1.자왈. 仁함이 아름다오니 갈히오대(擇) 仁에 處티 아니하면 엇디시럼곰 知타 하리오.
2. 공자가 말하였다. "마을이 어진 것이 아름다우니, 가려서 어진데 거처하지 않으면 어디에서 지혜로움을 얻겠는가?"


4-2.
자왈 불인자 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自曰 不仁者 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1. 자왈. 仁티 아니한 자난 可히 써 오래 約에 처티 못하나니 仁한 者난 仁을 安하고 知한자는 仁에 利히 더기나니라.
2. 자왈, "어질지 않은 사람은 오랫동안 어려움에 거쳐하지 못하며 오랫동안 즐거움에 거쳐하지 못핝다. 어진 사람은 어진 것을 편안하게 여기고, 지혜로운 사람은 어진 것을 이롭게 여긴다.


4-3.
자왈 유인자 능호인 능악인
子曰 惟仁者 能好人 能惡人
1. 자왈. 오직 仁한 者이 能히 사람을 好하며 能히 사람을 惡하나니라.
2. 자왈, "오직 어진 이라야 사람을 좋아할 수 있으며, 사람을 미워할 수 없다.


4-4.
자왈 구지어인의 무악야
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
1. 자왈. 진실로 仁에 志하면 惡이 업느니라.
2. 자왈. " 만일 어진데에 뜻을 둔다면 나쁜 점이 없을 것이다."


4-5
자왈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 득지 불처야
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 得之 不處也
빈여천 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 득지 불거야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 得之 不去也
군자거인 오호성명 군자무종식지간 위인
君子去仁 惡乎成名 君子無終食之間 違仁
조차 필어시 전패 필어시
造次 必於是 顚沛 必於是
1. 자왈. 富함과 다맛 貴함이 이 사람의 하고자 하는 바이나 그 도로써 아니 하야 어더든 處티 아니하며, 貧함과 다맛 賤함이 이 사람의 惡한 바이나 그 道로써 아니 하야 어더도 去티 아니할티니라. 君子이 仁을 去하면 어디 닐함을 일오리오. 君子이 食終할사이랄 仁에 違함이 업나니 조차에 반드시 이 예하며 顚沛에 반드시 이 예 하나니라.
2. 자왈. 부유함과 귀함은 사람들이 원하는 바이지만, 바른 도리로 얻지 않으면, 차지하지 않는다. 가난함과 천함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지만, 바른 도리로 얻지 않더라도 떠나지 않을 것이다. 군자가 인을 버리면 어디에서 군자라는 이름을 이루겠는가? 군자는 먹는 동안이라도 인을 어기지 않으니, 급하고 구차한 때에도 반드시 인에 의지하며 엎어지고 넘어지는 때에도 반드시 인에 의지한다.
3. 조차(造次)급하고 구차한 것. 전패(顚沛)


4-6.
자왈 아미견호인자 오불인자 호인자 무이상지
子曰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 好仁者 無以尙之
오불인자 기위인의 불사불인자 가호기신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 加乎其身
유능일일 용기력어인의호 아미견력부족자
有能一日 用其力於仁矣乎 我未見力不足者
개유지의 아미지견야
蓋有之矣 我未之見也
1. 자왈. 내 仁을 好하난 者와 不仁을 惡하는 者를 보디 못게라. 仁을 好하는 者난써 더을거시업고, 不仁을 惡하는 者난 그 仁을 하욤이 不仁으로 하여곰 그 몸애 加티아니하나니라. 能히 一日에 그 힘을 仁에 쓰리 잇나냐 내 힘이 足디 못한 자를 보디 못게라. 잇거날 내 보디 못하였도다.
2. 자왈. "내가 어진 것을 좋아하는 사람과 어질지 않는 것을 미워하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어진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더할 나위 없고, 어질지 않는 것을 미워하는 사람은 어질지 않은 것을 자신에게 몸에 가까이하지 않는다. 하루라도 그 힘을 어진 것에 쓰는 자가 있는가? 나는 힘이 부족한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아마도 있을 것인데 내가 보지 못하였나 보다."
3.無以尙之(무이상지)-그 이상 가는 것이 없다.


4-7.
자왈 인지과야각어기당 관과 사지인의
子曰 人之過也各於其黨 觀過 斯知仁矣
1. 자왈. 사람의 허물이 각각 그 류에 니 허물을 봄에 이에 仁을 알띠니라.
2. 자왈. "사람이 지나치는 것이 각각 종류가 있으니, 지나치는 것을 살펴보면 인을 알 수 있다."


4-8.
자왈 조문도 석사 가의
子曰 朝聞道 夕死 可矣
1. 자왈.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4-9.
자왈 사지어도이치악의악식자 미족여의야
子曰 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 未足與議也
1.자왈. 士이 道에 志호대 샤오 나온 옷과 샤오 나온 음식을 붓그리난 者난 足히 더불어 議치 못할게시니라.
2. 자왈. "선비로서 도에 뜻을 둔다고 하면서도 거친 옷과 거친 음식을 부끄러워하는 자와는 함께 의논하기에 부족하다.


4-10.
자왈 군자지어천하야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
子曰 君子之於天下也 無敵也 無莫也 義之與比
1. 자왈. 君子이 天下에 適함도 업스며, 莫함도 업셔 義로 더불어 比하나니라.
2. 자왈. "군자가 세상에 살면서 꼭 해야 하겠다는 것도 없고, 꼭 하지않아야겠다고 하는 것도 없어서 오직 정의를 따를 뿐이다."


4-11.
자왈 군자 회덕 소인 회토
子曰 君子 懷德 小人 懷土
군자 회형 소인 회혜
君子 懷刑 小人 懷惠
1. 자왈. 君子는 德을 懷하고, 小人은 土를 懷하며, 君子난 형을 懷하고 小人은 惠를 懷하나니라.
2. 자왈. "군자는 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땅을 생각하며,
군자는 형벌을 생각하고 소인은 은혜를 생각한다.


4-12.
자왈 방어리이행 다원
子曰 放於利而行 多怨
1. 자왈. 利에 放하야 行하면 怨이 多하나니라.
2. 자왈. "이익에 따라 행동하면 원망이 많다."


4-13.
자왈 능이예양위국호 하유 불능이예양위국호 여예하
子曰 能以禮讓爲國乎 何有 不能以禮讓爲國乎 如禮何
1.자왈. 能히 禮讓으로써 하면 國을 함애 무셔시 이시며, 能히 禮讓으로써 國하지 못하면 禮에 엇지하리오.
2. 자왈. "예로 사양하는 것으로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면 무슨 어려움이 있으며, 예로 사양하는 것으로 나라를다스릴 수 없다면 예의 절차는 무엇 하겠는가?"

출처: https://48324ksj.tistory.com/entry/里仁-1 [파도결속의 동백]

반응형

'수카 다르마의 논어 공부 > 제4장 이인(里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인(里仁)-2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