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 禪門拈頌-19 합환合歡
![](https://blog.kakaocdn.net/dn/bhfShF/btsL1AAD58Q/bBkIGH49cnKfADbjH7aUH1/tfile.jpg)
한전漢典
세존世尊께 인흑씨범지운신력因黑氏梵志運神力하야 이좌우수以左右手로 나합환오동화양주래공양拏合歡梧桐花兩珠來供養이어늘 불운佛云 선인仙人아하니 범지응낙梵志應喏
이어늘 불운佛云 방하착放下着하라.
범지梵志가 수방하좌수일주화遂放下左手一珠花어늘 불佛이 우소선인又召仙人아 방하착放下着하라. 범지梵志가 우방하우수일주화又放下右手一珠花어늘 불우운佛又云 선인仙人아 방하착放下着하라. 범지운梵志云 세존世尊이시여 아금공신이주我今空身而住어늘 갱교방하고십마更敎放下고什麽니꼬. 불운佛云 오비교여방사기화吾非敎汝放捨其花어늘 여당방사외육진내육근중육식汝當放捨外六塵內六根中六識하여 일시사각一時捨却하고 무가사처無可捨處면 시여면생사처是汝免生死處니라. 범지어언하梵志於言下에 무생인無生忍하니라. (유본소이대동有本小異大同)
한전 한글 번역
세존에게 흑씨黑氏 범지梵志가 신통력을 부려 양손에 합환오동合歡梧桐<오동 같이 생긴 나무로서 뜰 앞에 심어 이별 없기를 상징하는 나무> 꽃 두 송이를 들고 와서 공양하니, 부처님께서 선인仙人아! 하고 부르셨다. 이에 범지(선인)가 응답하니, 부처님께서 "버려라" 하시니, 범지가 왼 손의 꽃 한 송이를 버렸다. 부처님께서 또 부르시되 "선인아, 버려라" 하시니 범지는 다시 오른 손에 들었던 꽃 한 송이 마저 버렸다. 부처님께서 다시 "선인아, 버려라" 하시니, 범지가 말하되 "세존이시여, 저는 지금 빈 손으로 서 있거늘 다시 무엇을 버리라 하시나이까?" 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나는 너에게 그 꽃을 버리라 한 것이 아니다. 너는 밖의 육진(눈, 귀, 코, 혀, 몸, 뜻)과 안의 육근과 중간의 육식을 일시에 버려서 버릴 것이 없는 곳이라야 그 때가 생사를 면하는 곳이니라." 하시니, 범지가 그 말씀을 듣고 무생법인(생멸이 없는 진리의 실체)을 얻었다.
(다른 책에서는 약간 다르다.)
👉👉 꽃을 보고(바같 대상, 육진) 아름답거나 또는 아니거나(눈으로 보고 아름답다고 여기면 안식이고, 향기를 맡아서 좋다고 생각하면 비식이 된다.) 보거나 듣거나 하는 실제적 처리 도구인 눈이나 귀나 촉감은 육근이라 한다.
🙏🙏심문분心聞賁이 송頌했다. 댓글을 달았다.
양 손에 들고 온 것 모두 버리고
빈 몸으로 서 있어도 의심을 하네.
근根과 진塵이 의식을 찾을 수 없는 곳에
봄 바람에 활짝 핀 꽃이 좋구나.
🙏🙏 자수심慈受深이 법상에 올라 송頌했다.
석가노자는 토끼를 보고 매를 날릴 줄 만 알았고, 머리를 풀 밭에 파묻는 줄을 몰랐다.
산승山僧(자수심)이 다시 한마디 하니, 만일 이를 알면 조사의 문하에 잠시 쉴 자리를 마련하리라.
그만 두라, 놓아 버려라. 무량한 겁 동안 근본 성품이 너무 악惡했다. 다만 탐애貪愛가 먹구름 같은 줄 만 알았고 한 조각 광명을 전혀 어둡히었구나. 그만 두라. 놓아 버려라. 허망한 인생이여 헛 공상을 하지 말지니 부귀와 영화는 모두가 공한 것, 마침내는 무생락無生樂<생멸이 없음을 깨달은 뒤의 즐거움>이 있을 뿐이다. 하였다.